Temple tour

장가계 천문산사 25.01.14

singingman 2025. 1. 15. 09:10
728x90

천문산 관광 중 들르다.
아무리 빨리 돌아도 30분 이상은 걸린다.
전각과 안에 있는 불상들이 뒤죽박죽이고 정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느낌이다.
공산화 된 이후 중국의 불교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가 다 이상해진 것 같다.

천문산 한 바퀴 돌면 보인다



여기는 당간이 우리처럼 양쪽에 지주가 있는 형태가 아니다.



여기도 천원지방설에 따라 연못은 방형이고 안에 있는 섬은 타원형이다.



땅을 상징하는 연못은 사각형의 담을 둘렀고 하늘을 상징하는 섬은 타원형이다.



향수해나 극락교는 없고 대신 연못이 있다.




일주문도 없다.


당간이 절 입구에 두 개가 높이 서 있다



who are you?





금강 역사 둘이 있다. 이 금강은 입을 벌린 아금강인 밀적 금강이고



이는 입을 다물고 있는 훔금강인 나라연 금강이다.



천왕전

우리 나라에서는 사천왕은 천왕문에 서서 악귀들을 막아주는 수호무사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는 부처처럼 전각을 가지고 있다.
아니면 중국은 천왕전이 미륵전인가?
찾아보니까 중국 불교에서 천왕전의 주불은 미륵보살이라고 한다.
포대화상이 미륵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져서 천왕전에 앉아 있다.

고각





석등이 아니고 철등이다



종각





그런데 천왕전 안에 생뚱맞게 미륵불이 한가운데 앉아 있다. 중국에서는 미륵불을 이렇게 뚱뚱하게 표현하기도 하는 것 같다. 홍콩에서도 도교 사원에서 이렇게 배를 드러낸 뚱뚱한 미륵불을 본 적이 있다.포대화상인 줄 알았다.

다른 사람의 글을 찾아보니 중국 불교에서는 미륵불을 이렇게 포대화상처럼 배불뚝이 형상으로 만든다고 한다.
그리고 천왕전에 미륵불이 있는 것이 보편적인 모양이다.
그러니까 이름은 천왕전이지만 사천왕이 주인이 아니고 미륵불이 천왕전의 주인이다.
우리 나라의 미륵불은 모자를 쓰고 서 있거나 반가부좌를 하고 앉아 있는데 비해 중국 미륵불은 이런 모습을 하고 있다.

중국 미륵불의 형상은 당나라가 망하고 오대시기에 실존했던 스님인 포대화상(??~917년)의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고대 중국인은 포대화상을 미륵의 화신이라고 믿었던 것 같다.


사천왕

사천왕은 천왕전 입구에 우리 나라 사천왕처럼 양쪽에 두 명씩 있다.


우리 나라 다문 천왕은 탑을 들고 있는데 여기는 빈 손이다.







관음보살 같은데





선산불연 신선의 산(천문산)과 불가가 인연을 맺음



각해자항 깨달음의 바다를 자비를 통해 건너감.



삼계도사 삼계(욕계, 색계, 무색계)를 이끄는 큰 스승





나한들도 있고



문수보살이라는데



관음보살



코끼리를 탔으니 보현 보살






약사불이라는데 약병이 없다.



석가모니불의 수인이 이상하다.







만덕장엄 만가지 덕이 장엄하고, 또는 만가지 덕으로 장엄하다



승경연지 아름다운 경관의 연꽃 못



보도중생 중생을 제도하다.



















사리함



이 안에 부처의 진신사리가 있다고









삼장법사 일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