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 미술관 25.03.19
궁산 트래킹 가면서 들르다.
겸재는 아래 사진들에 설명이 되어 있다.
겸재 정선(1676,숙종 2년~1759년,영조 35년)은 우리 나라 진경산수화의 시조이며 대가로 알려져 있다.
미술관이 있는 이곳 양천현감을 지냈다.
이병연(1671~1751년)과 함께 김창흡의 제자였다.
몰락한 집안의 후손이었지만 김창집의 도움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
내부는 겸재에 관한 설명과 영인본들이 있고 원본만 따로 전시하는 방도 있다.
1,2층은 전시실이고 3층은 카페다.

양천향교역에서 가깝다.

1번 출구로 나와서 직진하면 이 팻말이 나오고 우회전해서 앞으로 가면 미술관이 있다.




미술관

1층에는 금릉 김현철이라는 화가가 개인전을 하고 있다.

병산서원 만대루

창덕궁 희정당
아래는 임모한 그림이다.

경복궁

창덕궁 인정전

설악산

영춘재색

임심주여산고도
임이 앞에 있으면 영인본 보고 모사한 그림이란 뜻이다.

임곽희 조춘도

겸재 금강내산도를 모사

울산 바위



차귀도


섬 - 독도


울릉도


영실


청량산 청량사

울산암 서색

산방산

정방폭포

제주바다
김현철 개인전 끝나고
아래는 정선






추경산수도

하경산수도

북원수회도

해산정도





금강내산도

정양사도

비로봉도

통천문암도



단발령망금강산도

금강내산총도

장안사도

보덕굴도

불정대도

백천교도

금강전도




정양사도

금강대도

만폭동도

혈망봉도

총석정도



청하성읍도

내연삼용추도






인곡유거도


서원소정도(위)와 서원조망도(아래)








행호관어도

종해청조도

소악후월도

공암층탑도



웅연계람도

우화등선도



선인도해도

박연폭도

하경산수도

인왕재색도


사직송도



여산초당도

사문탈사도(위)와 동리채국도(아래)

다람쥐도(위)와 추일한묘도(아래)

아래는 영인본이 아니고 원본들이다.

산수도


산수도


산수도


산수기려도


산천재도


겸재망원도


망부석도


조어도(좌)와 피금정도(우)



양천현아 모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