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능,원,묘

조선왕릉 탐방 2021-07-29

singingman 2023. 5. 2. 21:32
728x90

조선왕릉은 남한 18곳과 북한 두 곳 합해서 20개 지역에 40기의 능이 있습니다.
왕릉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입니다.
여기에 연산군과 광해군의 2기의 묘가 더 있습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왕의 신분으로 죽지 않았기 때문에 능이 아닌 묘에 묻혔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에 들지도 못했습니다.
왕릉은 조선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규정에 따라 한양 도성으로부터 10리에서 100리 사이에 마련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주 영녕릉이나 영월 장릉처럼 예외도 있습니다. 
 
 

조선왕릉 일람표

 

능명능주조성연대형태
1건원릉(健元陵)제1대 태조고황제1408년단릉
제릉(齊陵)제1대 태조 원비 신의고황후1391년
1392년(봉릉)
단릉
정릉(貞陵)제1대 태조 계비 신덕고황후1409년(이장)단릉
2후릉(厚陵)제2대 정종과 정안왕후왕:1420년
비:1412년
쌍릉
3헌릉(獻陵)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왕:1422년
비:1420년
쌍릉
4영릉(英陵)제4대 세종과 소헌왕후1469년(이장)합장릉
5현릉(顯陵)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왕:1452년
비:1513년(이장)
동원이강릉
6장릉(莊陵)제6대 단종1698년(봉릉)단릉
사릉(思陵)제6대 단종비 정순왕후1531년
1698년(봉릉)
단릉
7광릉(光陵)제7대 세조와 정희왕후왕:1468년
비:1483년
동원이강릉
추존경릉(敬陵)추존 덕종과 소혜왕후왕:1457년
비:1504년
동원이강릉
8창릉(昌陵)제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왕:1470년
비:1499년
동원이강릉
공릉(恭陵)제8대 예종원비 장순왕후1461년
1471년(봉릉)
단릉
9선릉(宣陵)제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왕:1495년
비:1530년
동원이강릉
순릉(順陵)제9대 성종원비 공혜왕후1474년단릉
10연산군묘제10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왕:1512년(이장)
비:1537년
쌍분
11정릉(靖陵)제11대 중종1562년(이장)단릉
온릉(溫陵)제11대 중종원비 단경왕후1557년
1739년(봉릉)
단릉
희릉(禧陵)제11대 중종1계비 장경왕후1537년(이장)단릉
태릉(泰陵)제11대 중종2계비 문정왕후1565년단릉
12효릉(孝陵)제12대 인종과 인성왕후왕:1545년
비:1578년
쌍릉
13강릉(康陵)제13대 명종과 인순왕후왕:1567년
비:1575년
쌍릉
14목릉(穆陵)제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
왕:1630년(이장)
원비:1600년
계비:1632년
동원이강릉
15광해군묘제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왕:1641년
비:1623년
쌍분
추존장릉(章陵)추존 원종과 인헌왕후왕:1627(이장)
비:1626
1632년(봉릉)
쌍릉
16장릉(長陵)제16대 인조와 원비 인렬왕후1731년(이장)합장릉
휘릉(徽陵)제16대 인조계비 장렬왕후1688년단릉
17영릉(寧陵)제17대 효종과 인선왕후왕:1673년(이장)
비:1674년
동원상하릉
18숭릉(崇陵)제18대 현종과 명성왕후왕:1674년
비:1684년
쌍릉
19명릉(明陵)제19대 숙종과 1계비 인현왕후,
2계비 인원왕후
왕:1720년
1계비:1701년
2계비:1757년
동원이강릉
익릉(翼陵)제19대 숙종원비 인경왕후1680년단릉
20의릉(懿陵)제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왕:1724년
비:1730년
동원상하릉
혜릉(惠陵)제20대 경종원비 단의왕후1718년
1720년(봉릉)
단릉
21원릉(元陵)제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왕:1776년
비:1805년
쌍릉
홍릉(弘陵)제21대 영조원비 정성왕후1757년단릉
추존영릉(永陵)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왕:1728년
비:1751년
1776년(봉릉)
쌍릉
추존융릉(隆陵)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왕:1789년(이장)
비:1815년
1899년(봉릉)
합장릉
22건릉(健陵)제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왕:1821년(이장)
비:1821년
합장릉
23인릉(仁陵)제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왕:1856년(이장)
비:1857년
합장릉
추존수릉(綏陵)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왕:1855년(이장)
비:1890년
합장릉
24경릉(景陵)제24대 헌종성황제와 원비 효현성황후와
계비 효정성황후
왕:1849년
원비:1843년
계비:1904년
삼연릉
25예릉(睿陵)제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왕:1864년
비:1878년
쌍릉
26홍릉(洪陵)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제:1919년
후:1919년(이장)
합장릉
27유릉(裕陵)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원후 순명효황후와
계후 순정효황후
제:1926년
원후:1926년(이장)
계후:1966년
합장릉

 
무덤은 묻힌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됩니다.
 
무덤의 종류구분
능(陵) :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
원(園) : 왕의 사친(왕을 낳은 후궁이나 왕족), 왕세자와 왕세자빈, 왕세손,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무덤
묘(墓) : 나머지 왕족(대군, 군, 공주, 옹주, 후궁)과 폐왕의 무덤
 
조선왕릉의 형식
조선왕릉은 기본적으로 유교예법에 근거한 상설제도에 따라 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봉분의 조성형태에 따라 형태적 차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형식은 크게 단릉, 쌍릉, 합장릉, 동원이강릉, 동원상하릉, 삼연릉의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릉(單陵)
단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이다. 대표적으로 태조 건원릉, 단종 장릉, 중종 정릉 등 15기의 능이 있습니다.
 
쌍릉(雙陵)
쌍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하나의 곡장 안에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 오른쪽에 왕, 왼쪽에 왕비)의 원칙에 따라 조성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명종 강릉, 영조 원릉, 철종 예릉 등 9기의 능이 있습니다.
 
합장릉(合葬陵)
합장릉은 왕과 왕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능이다. 영조 이전의 합장릉은 혼유석을 2좌씩 배치하였으나 영조 이후에는 혼유석을 1좌씩 배치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세종 영릉, 인조 장릉, 정조 건릉 등 8기의 능이 있습니다. 특이하게 순종황제 유릉은 황제와 황후 두 분을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동봉삼실(同封三室) 합장릉입니다.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동원이강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과 상설을 조성한 능입니다. 최초의 동원이강릉은 세조 광릉이며, 예종 창릉, 성종 선릉 등 7기의 능이 있습니다. 특이하게 선조 목릉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언덕(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에 별도의 봉분을 조성하였고, 숙종 명릉은 쌍릉(숙종과 인현왕후)과 단릉(인원왕후)의 형태로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을 조성하였습니다.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
동원상하릉은 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 아래로 조성한 능으로, 능혈의 폭이 좁아 왕성한 기가 흐르는 정혈(正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풍수지리적인 이유로 조성하였다. 효종 영릉과 경종 의릉 2기가 해당되며, 왕의 능침에만 곡장을 둘렀습니다.
 
삼연릉(三連陵)
삼연릉은 한 언덕에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헌종 경릉이 유일하다.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오른쪽(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왕을 모시고 첫 번째 왕비(효현성황후)와 두 번째 왕비(효정성황후)를 순서대로 모셨습니다.
 

 
단릉 형식은 태조 건원릉부터 시작하여 조선 중기까지 나타나며 18세기 이후에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쌍릉 형식은 조선시대 전반적으로 고르게 나타나며, 동원이강릉 형식은 세조 광릉을 시작으로 15세기에만 집중되었을 뿐 이후에는 볼 수 없습니다.
합장릉의 형식은 18세기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능역 조성시 소요되는 경비와 인력을 절감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밖에 풍수적인 입지와 공간적으로 협소하여 동원상하릉의 형식과 삼연릉 형식이 나타나기도 하였습니다.
(이상은 조선왕릉 홈페이제에서 복사해 온 것입니다.)
 
능의 구조는 아래에서 종종 언급되겠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1. 금천(금천교)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매표소를 지나서 홍살문 앞에 이르면 금천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금천에는 금천교가 있습니다.
간혹 없는 곳도 있고 금천은 있어도 다리라고 하기에는 간단한 돌을 깐 곳도 있습니다.
여기가 성과 속의 경계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궁궐에도 이런 금천이 있습니다.
불교 사찰에는 일주문 전후로 향수해를 건너는 홍예교가 있습니다.
 

융릉의 금천교입니다.

 
이 금천을 지나면 홍살문이 나옵니다.
 
2. 홍살문
 
홍살문(紅箭門)이란 충신, 효자, 열녀들을 표창하여 임금이 그 집이나 마을 앞, 능(陵), 원(園), 묘(廟), 궁전(宮殿), 관아(官衙) 등에 세우도록 한 붉은 문(門)입니다.
일반 서원에 세워지기도 하는데 이는 고명한 유학자의 위폐를 서원 한구석에 모셔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홍살문의 원음은 홍전문(紅箭門)입니다.
붉을 홍, 화살 전, 문 문. 한마디로 붉은 화살로 된 문이란 뜻입니다.
그 구조를 보면 홍살 뿐만 아니라 가운데에는 삼지창(三枝槍)까지 만들어 놓았고 삼지창의 목 부분에 음양을 뜻하는 태극(太極)이나 삼태극(三太極), 불교의 만(卍)자 그리고 단청문양을 그려넣기도 하였습니다.
 

홍릉의 홍살문입니다.

 
3. 향로와 어로
 
홍살문 아래에는 향로와 어로가 있습니다.
이 길은 향을 든 제관과 임금이 걸어가는 길입니다.
 

김포 장릉의 향로와 어로입니다.

 
4. 판위
 
판위는 대체로 홍살문 오른쪽에 있습니다.
이 판위는 배위라고도 하며 참배자가 절을 하는 곳입니다.
 

서울 정릉의 판위 입니다.

 
5. 정자각
 
향로와 어로의 끝에는 정자각이나 일자각이 있습니다.
여기는 제사를 지내는 곳입니다.
이 건물의 생긴 모양이 丁자처럼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원에는 정자각이 아닌 일자(一)각이 있습니다.
황제의 능인 홍유릉에는 丁字閣이 아닌 한 일자('ㅡ')의 一字閣이 있습니다.
지붕에는 잡상들이 있어서 여기가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고 잡귀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정자각에세 실제적인 제사행위가 이루어 집니다.
 

서울 인릉의 정자각입니다.

 
6. 수복방과 수라간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에는 동쪽에 수복방이 있고 서쪽에 수라간이 있습니다.
수복방은 능을 지키는 사람인 능참봉등이 근무하는 곳이고 수라간은 제사 음식을 만드는 곳입니다.
능에 따라서 수복방과 수라간이 없거나 둘 중 하나만 있는 곳도 있습니다.
실제 제사 음식은 능 근처에 있는 재실에서 대부분 준비하게 됩니다.
 

서울 선릉의 수복방입니다.

 

서울 선릉의 수라간입니다.

 
7. 능침
 
정자각 뒤에는 능침부분이 있습니다.
능침부분의 석물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 글들 가운데 여러 곳에서 설명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대체로 능침부는 봉분과 그 뒤의 곡장과, 봉분을 둘러싼 병풍석과 난간석, 봉분 앞의 혼유석과 장명등, 봉분 양옆의 망주석과 석인, 각종 석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정자각과 능침으로 올라가는 사이 도랑에는 돌다리가 놓여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서울 정릉의 정자각과 능침 사이의 돌다리입니다.

이 돌다리는 제사를 받으로 온 능의 주인이 제사가 끝나고 능으로 돌아갈 때 빗물등에 발이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8. 예감
 
일반적으로 능 아래 정자각에서 바라봤을 때 왼편에 예감이 있습니다.
예감은 제사 축문을 태우는 곳입니다.
바람등에 산불이 나지 않게 뚜껑이 있거나 돌로 테두리를 두른 경우가 많습니다.
 
 

파주 장릉의 예감입니다

 
9. 비각
 
정자각 동편에는 이 능의 주인을 표시하는 비각이 있고 그 안에는 왕이나 왕비의 묘호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선릉의 비각입니다.

 

선릉 비각 안의 비석입니다.

 
이제 차례대로 능들을 탐방해보겠습니다.
우리 대부분의 왕릉에는 탐방객들을 위한 산책로가 능 주위로 잘 조성되어 있고 아름다운 소나무숲인 도래솔이 잘 가꾸어져 있습니다.
순서는 위 왕릉 배치도의 왼편에서 오른편 순서대로 탐방합니다.
 
1. 파주 장릉
 
파주 장릉(長陵) 21-07-14 (tistory.com)

파주 장릉(長陵) 21-07-14

장릉은 우리 나라에 3곳이 있다. 김포 장릉(章陵)과 영월 장릉(莊陵)이 또 있다. 김포 장릉에 묻힌 사람이 파주 장릉의 주인인 인조의 부모인 원종과 인헌왕후이다. 영월 장릉은 비운의 왕 단종의

song419.tistory.com

 
2. 김포 장릉
김포 장릉 19-10-23 (tistory.com)

김포 장릉 19-10-23

위키 백과에 의하면 장릉(章陵)은 조선 시대 인조의 아버지인 원종과 그의 비 인헌왕후 구씨의 무덤이 있는 곳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산 141-1이다. 문화재청 장릉지구관리소에서

song419.tistory.com

 
3. 파주 삼릉
파주 삼릉 17-10-19 (tistory.com)

파주 삼릉 17-10-19

중간 고사 둘째 날 일찍 끝나서 혼자 가다. 전에는 공릉으로 불린 적도 있고 공순영릉으로 불리기도 했다. 마침 문화재 안내원이 계셔서 친절하게 안내를 받을 수 있었다. 능에 들어가기 전에 오

song419.tistory.com

 
4. 고양 서삼릉
고양 서삼릉 21-07-28 (tistory.com)

고양 서삼릉 21-07-28

서삼릉(西三陵)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희릉, 효릉, 예릉의 세 능(三陵)이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song419.tistory.com

 
5. 고양 서오릉
고양 서오릉 19-08-24 (tistory.com)

고양 서오릉 19-08-24

동구릉에는 서울 동쪽에 9개의 능이 있어서 동9릉이고 서오릉은 서울 서쪽에 5개의 능이 있어서 서오릉이다. 동구릉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여기는 5개의 능과 2개의 원 그리고 한 개의 묘가 있다

song419.tistory.com

 
6. 양주 온릉
양주 온릉 21-07-14 (tistory.com)

양주 온릉 21-07-14

온릉은 미개방릉으로 있다가 2019년11월14일 무료 시범 개방되었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온릉(溫陵)은 조선 중종의 원비인 단경왕후 신씨의 능으로,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산 19번지에 위치하고 있

song419.tistory.com

 
7. 서울 태릉
서울 태릉 21-07-21 (tistory.com)

서울 태릉 21-07-21

태릉(泰陵)은 조선 왕조 제11대 임금인 중종(中宗)의 왕비(제3비)인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1565년)의 능으로, 1565년에 조성되었다. 태릉은 왕비의 봉분(封墳) 1기만을 조성한 단릉(

song419.tistory.com

 
7-1. 서울 강릉
서울 강릉 21-07-21 (tistory.com)

서울 강릉 21-07-21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공릉동)에 있는 조선 명종과 인순왕후 심씨의 왕릉이다. 사적 제201호로 지정되어 있다. 태릉선수촌과 한국체육과학연구원을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 약 1km 지점에 어

song419.tistory.com

 
8. 서울 정릉
서울 정릉 21-07-21 (tistory.com)

서울 정릉 21-07-21

위키백과에 의하면 정릉(貞陵)은 조선 태조의 계비인 신덕왕후(神德王后)의 능으로 원래 정동(貞洞) 영국대사관 자리에 있었던 것을 태종 9년에 옮겼다. 사적 제208호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

song419.tistory.com

 
9. 서울 의릉
서울 의릉 21-07-20 (tistory.com)

서울 의릉 21-07-20

전철 6호선 돌곶이 역에 하차해서 의릉으로 갈 수 있다. 한예종 정문과 의릉 정문이 바로 이웃해 있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있는 경종과 선의왕후 어씨의 왕릉이다.

song419.tistory.com

 
10. 서울 선릉과 정릉
서울 선릉과 정릉 21-07-20 (tistory.com)

서울 선릉과 정릉 21-07-20

전에 한번 다녀 온 적이 있었지만 오늘 다시 가다. 성종과 중조의 능이 있다. 그러니까 아버지와 아들의 능이다. 융건릉이 사도세자와 정조의 능으로 부자간의 능이듯이 여기도 그러하다. 성종

song419.tistory.com

 
11.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헌인릉 21-07-22 (tistory.com)

서울 헌인릉 21-07-22

위키백과에 의하면 헌인릉(獻仁陵, 사적 194호)은 서울특별시 서초구 내곡동에 있는 조선조 왕릉이다. 이 곳에는 조선 3대 임금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능인 헌릉, 23대 임금 순조와 순원왕후 김

song419.tistory.com

 
 
12. 화성 융릉과 건릉
화성 융릉과 건릉 21-06-09 (tistory.com)

화성 융릉과 건릉 21-06-09

내가 가장 좋아하는 조선 시대의 왕은 정조 대왕이다. 그래서 전부터 융건릉을 다시 가고 싶었다. 오래 전에 한번 다녀 온 적이 있긴 했지만 당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서 오늘 다시 가게

song419.tistory.com

 
13. 구리 동구릉
구리 동구릉 20-05-23 (tistory.com)

구리 동구릉   20-05-23

배집사님 부부와 함께 가다. 다음 백과 사전에 의하면 사적 제193호이다. 1408년 태조의 왕릉이 자리하고 건원릉이라 하였으며, 1855년 수릉이 9번째로 조성되어 동구릉이라 부르게 되었다. 건원릉

song419.tistory.com

 
14. 남양주 사릉
남양주 사릉 21-07-21 (tistory.com)

남양주 사릉 21-07-21

위키백과에 의하면 남양주 사릉(南楊州 思陵)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부인 정순왕후(1440∼1521)의 무덤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리 산 65-1에 위치하고 있다. 1970년 5월 26일 대한민국의 사적

song419.tistory.com

 
15. 남양주 광릉
남양주 광릉 17-10-02 (tistory.com)

남양주 광릉 17-10-02

성수 부부와 함께 가다. 광릉光陵(세조와 정희왕후) 위치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354 능의 형식 :동원이강릉 능의 조성 :1468년(예종 즉위), 1483년(성종 14) 능의 구성 광릉은 조선 7대

song419.tistory.com

 
16. 남양주 홍.유릉
남양주 홍.유릉 17-08-12 (tistory.com)

남양주 홍.유릉 17-08-12

위키백과에 의하면 홍릉(洪陵)과 유릉(裕陵)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에 있는 능으로 홍릉(洪陵)은 대한제국의 초대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능이며, 유릉(裕陵)은 대한제

song419.tistory.com

 
17. 여주 영릉과 영릉
여주 영릉과 영릉 21-07-09 (tistory.com)

여주 영릉과 영릉 21-07-09

전부터 세종 대왕릉을 가보고 싶었다. 집에서 전철을 타고 세종대왕릉 역까지 가서 버스를 갈아타고 가다. 매표소를 지나 조금 올라가면 세종대왕 동상과 당시에 만들어진 과학기구들의 복사품

song419.tistory.com

 
18. 영월 장릉
https://song419.tistory.com/m/3356

영월 장릉 21-12-30

주천 사는 이화섭 선생님 댁을 방문하고 들르다. 조선 왕릉 마지막 남은 곳을 마침내 가게 되었다. 오래 전에 다녀 온 적이 있긴 하지만 아마 그때는 왕릉이 유네스코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기 전

song419.tistory.com


 
왕릉에는 들지 못했지만 한 때는 왕이었던 연산군과 광해군의 묘도 함께 올린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연산군이나 광해군에 관해서는 다른 시각도 있어서 읽은 책을 함께 올린다.
 

19. 서삼릉 효릉
https://song419.tistory.com/m/4174

서삼릉 효릉 & 태실  24.04.07

주일 예배를 마치고 미리 예약한 3시 회차에 맞춰서 아내와 함께 가다. 효릉과 태실은 예약한 사람만 한 회차에 20명씩 들어 갈 수 있다. 우리는 다른 사람이 없어서 아내와 둘만 해설사의 해설을

song419.tistory.com

서삼릉의 예릉과 희릉은 개방이 되어 있지만 효릉은 미개방으로 있다가 개방이 되어서 예약을 하면 들어갈 수 있다.


*. 연산군 묘
서울 연산군묘 21-07-23 (tistory.com)

서울 연산군묘 21-07-23

한 때는 왕이었던 남자 연산군의 묘는 광해군의 묘에 비해서는 잘 조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연산군을 위한 변명'이란 책을 쓴 신동준에 의하면 연산군은 그렇게까지 나쁜 폭군은 아니었다

song419.tistory.com

 
연산군을 위한 변명 신동준 지식산업사 2003년 480쪽 ~7/25 (tistory.com)

연산군을 위한 변명 신동준 지식산업사 2003년 480쪽 ~7/25

제목처럼 연산군을 옹호하는 내용이다. 연산군은 왕도주의자가 아니고 패도주의자이며 신권 위에 강력한 왕권을 두려고 했다. 섹스 중독자가 아니고 낭만적이고 학식이 있는 사람이라고 주장

song419.tistory.com

 
*. 광해군 묘
남양주 광해군 묘 21-07-21 (tistory.com)

남양주 광해군 묘 21-07-21

광해군은 과연 왕위를 빼앗길만큼 폭군이었을까? 연산군과 이 두사람에게는 이런 의문이 든다. 광해는 아버지 선조에 비해서는 훨씬 뛰어난 인물로 생각된다. 공과를 논하면 어느 쪽이 클까? 경

song419.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