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평화누리길 4코스
- 김포 문수산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해파랑길 8코스
- 북한산 만포면옥
- 앙코르와트
- #강화나들길 3코스
- 평화누리길 7코스
- 티스토리챌린지
- 명동 성당 미사
- 단양 구담봉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성인대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해파랑길 20코스
- 미시령 성인대
- 해파랑길 48코스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김포 한재당
- 오블완
- 군위 팔공산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평화누리길 3코스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Today
- Total
노래하는 사람
남양주 광해군 묘 21-07-21 본문
광해군은 과연 왕위를 빼앗길만큼 폭군이었을까?
연산군과 이 두사람에게는 이런 의문이 든다.
광해는 아버지 선조에 비해서는 훨씬 뛰어난 인물로 생각된다.
공과를 논하면 어느 쪽이 클까?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에 위치한 조선 15대 광해군(재위 1608∼1623)과 문성군부인 유씨의 묘이다.
사적 제36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인조 21년 1643년에 조성되었다.
조선 15대 광해군(재위 1608∼1623)과 문성군부인 유씨의 무덤이다. 봉분이 두개인 쌍분이며, 무덤 주변에는 석물들이 있다.
광해군은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아들로 형인 임해군 대신 1608년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형인 임해군과 동생인 영창대군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경희궁에 가두는 행동을 하였다.
우리가 흔히 듣는 (廢母殺弟)때문에 그는 왕위에서 쫓겨났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인조 반정으로 정권을 장악한 사람들의 시각이다.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가 왕이 되는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광해군은 강화와 제주도에 유배되었고, 인조 19년(1641)에 사망했다.
처음엔 제주도에 묻혔다가 인조 21년(1643) 이곳으로 옮겨졌다.
광해군은 재위 15년 동안 임진왜란 이후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해 서적 편찬과 대동법 실시, 국방력 강화 등에 힘을 기울이기도 했다.
명청 교체기에 균형잡힌 외교력을 발휘하려고 노력했고 또 상당 부분 그렇게 했다.
말년에 상궁 김개똥과의 추문이나 신하들의 붕당정치를 제대로 잡지 못해서 결국 왕위를 빼앗긴 것으로 생각된다.
부인유씨는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가 되었고,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어 강화로 함께 유배를 갔다가 1623년 사망했다.
양주에 무덤을 모시고, 광해군이 죽은 후 같은 곳으로 옮겨졌다.
조선임금이 안장된 묘소이지만 연산군묘와 함께 반정으로 축출된 임금의 무덤이라 다른 조선왕릉과는 다르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제15대 광해군 · 문성군부인 광해군묘(光海君墓)
위치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 337-4 (송능리 산 59)
묘의 형식 :쌍분묘의 조성 :1623년(인조 1), 1641년(인조 19)
묘의 구성
광해군묘는 조선 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류씨의 묘소이다.
묘소는 왕자 묘제의 예로 조성되었다. 쌍분의 형태로 조성되어 병풍석과 난간석을 생략하고, 문석인, 망주석, 장명등, 상석, 향로석, 혼유석을 배치하였다.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이 광해군묘, 오른쪽이 문성군부인묘소로 각 봉분 앞에는 묘표석을 세웠다.
묘소 밑에는 재실터로 추정되는 주춧돌이 있다.
묘의 역사
1623년(인조 1)에 문성군부인 류씨가 강화도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자 같은 해 음력 윤10월 29일에 양주 적성동(현 남양주시 진건읍 송능리)에 먼저 묘소를 조성하였다.
이후 1641년(인조 19)에 광해군이 제주도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자 같은 해 10월 4일에 문성군부인 묘 우측에 묘소를 조성하였다.
광해군(光海君) 이야기
광해군(재세 : 1575년 음력 4월 26일 ~ 1641년 음력 7월 1일, 재위 : 1608년 음력 2월 2일 ~ 1623년 음력 3월 13일)은 선조와 공빈 김씨의 둘째 아들로 1575년(선조 8)에 태어났다.
광해군에 책봉된 후,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왕세자가 된 후엔 남도로 내려가 왜군을 무찔러 왜란의 승전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왜란이 종결된 후 선조의 두 번째 왕비로 인목왕후가 간택 된 후 영창대군이 태어나자 왕세자의 지위가 위협 받기도 하였으나, 1608년에 선조가 승하하자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국토의 복구사업에 전념하였다. 창덕궁을 비롯한 궁궐과 종묘사직을 중건하였고, 소실된 여러 서적들을 다시 간행하였으며, 경기도에 대동법을 실시하여 민생안정에 힘을 썼다.
또 당시 명나라와 후금(청)사이에서 실리적인 중립외교정책을 펼치기도 하였다.
그러나 왕위 계승에 대한 불안감으로 친형 임해군을 죽였고, 붕당정치에 휘말려 계축옥사 등의 여러 역모사건으로 광해군을 배척한 세력(소북)과 영창대군을 죽이기도 하였다.
심지어 치열한 당파싸움으로 인목왕후를 폐하여 서궁에 유폐시키기도 하였다.
이러한 상황속에 폐모살제와 외교정책에 불만을 품은 서인(西人)들이 1623년에 선조의 손자 능양군을 옹립하는 인조반정을 일으켜 성공하게 되자 광해군은 왕위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강화도에 유배되었다가 제주도로 옮겨졌고, 1641년(인조 19)에 제주도 유배지에서 67세로 세상을 떠났다.
문성군부인(文城郡夫人) 이야기
문성군부인 류씨(재세 : 1576년 음력 7월 21일 ~ 1623년 음력 10월 8일)는 본관이 문화인 문양부원군 류자신과 봉원부부인 정씨의 딸로 1576년(선조 9)에 태어나, 선조의 왕자 광해군과 결혼하여 문성군부인에 봉해졌다.
1592년(선조 25)에 광해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자 왕세자빈에 책봉되었고, 1608년에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광해군 사이에서 3남을 낳았으며, 1622년(광해 14)에 광해군의 외교정책의 잘못을 지적한 상소문을 올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1623년에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문성군부인으로 강봉되어 강화도로 유배되었다.
같은 해에 강화도 유배지에서 48세로 세상을 떠났다.
곡장이 둘러져 있고 석물들이 보인다.
난간석이나 병풍석은 없다.
'궁,능,원,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강릉 21-07-21 (0) | 2023.05.01 |
---|---|
남양주 사릉 21-07-21 (0) | 2023.05.01 |
서울 의릉 21-07-20 (0) | 2023.05.01 |
서울 선릉과 정릉 21-07-20 (0) | 2023.05.01 |
양주 온릉 21-07-14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