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평화누리길 4코스
- 군위 팔공산
- 해파랑길 8코스
- 오블완
- #강화나들길 3코스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김포 한재당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해파랑길 20코스
- 앙코르와트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단양 구담봉
- 평화누리길 7코스
- 티스토리챌린지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성인대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명동 성당 미사
- 평화누리길 3코스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미시령 성인대
- 해파랑길 48코스
- 북한산 만포면옥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김포 문수산
- Today
- Total
목록Essay & Article (21)
노래하는 사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8WItH/btsrjqYSu83/lW0dSgy1IETaZCjkXaQtf0/img.jpg)
아래 유인물의 내용은 대략 이렇다. 찬양대 보다는 조직이 슬림하고 비용도 적게 드는 찬양팀이 한국 교회의 대세를 이루어 가고 있는 중이다.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제일 큰 이유는 교인이 줄어들었기 때문이고 교회 학교의 찬양대가 없다보니 젊은이들이 찬양대로 쉽게 들어오지 못하는데도 이유가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교회 학교에서 찬양대 경험이 있으면 4부 합창에 대한 생소함이나 두려움이 없지만 경험이 없으니 어렵고 선뜻 찬양대에 들어갈 수가 없다. 학교에서도 입시 때문에 합창이 없어진 지가 오래 되었다. 그러다보니 많은 시간을 들여 연습해야 하는 합창이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거기에 비해서 찬양팀은 이미 대중 매체에서 보는 음악과도 별로 다르지 않으니 쉽게 적응할 수 있고 또 현재의 ccm이 대중 음악..
"리피야 라샤카파테 라시야다 로야로 바칸나기 리키키고 나카치 라시카파타리 니미카니야 아파타카카야 시키키코 바야" 위의 방언은 몇 문장 정도인데 통역은 엄청나게 길다. 실제 지구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라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는데, 언어로서의 구조가 없고 일관성도 찾아 볼 수가 없다. '리피야' : 내 사랑하는 아들딸들아 너는 내가 어디 있다고 생각하느냐 '라샤카파테' : 내가 구만리 장천 멀리 하늘 위에 있다고 생각하느냐 '라시야다' : 땅 끝에 있다고 생각하느냐 땅을 파야 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느냐 '로야로' : 아니라 !십자가를 통하여 내가 너희 속에 들어와 있고 '바칸나기' : 너희 숨과 함께 있고 너희 생명 속에 함께 있도다 '리키키고' : 내가 너를 붙들어 주고 너를 도와주기를 바라노라..
오늘날 한국교회의 CCM은 계속 발전(?)하고 있다.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구자억 목사의 트롯트 CCM이나 디제잉워십, EDM을 비롯하여 모든 현대음악장르로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만일 CCM에 Christian이라는 단어만 붙지 않았어도 트롯트 CCM이 나오든, 디제잉워십이 나오든, EDM이 나오든 그렇게 큰 논란거리가 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여기에 Christian이라는 단어가 엄연히 박혀 있기에 CCM의 영역이 확대될 때마다 뜨거운 논란이 일어나는 것이다. (다음은 트로트 형식으로 하나님을 찬양한다는 구자억 목사의 보기에도 매우 역겨운 TV 공연 영상이다. 차라리 목사라는 호칭을 포기하고 이러한 일을 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
개혁교회 예배 음악과 ‘시편 찬송’ ▲ 서창원 교수(총신신대원) 1. 이끄는 말 시편 찬송가, 과연 필요한 것인가? 이 질문은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성도들에게는 불필요하다. 정작 필요한 질문은 개혁교회에 찬송가가 필요한가? 일 것이다. 이것이 20세기 직전까지 무려 40년 동안 스코틀랜드 개혁장로교회 안에서 다루어졌던 논제였다. 그들에게 아주 당연시했던 시편 찬송가, 개혁교회 전통을 이어받고 있다는 개혁교단에서 시편찬송가가 필요한가? 라는 제하의 공청회를 가진다는 것이 참으로 어색한 일이다. 이 일은 한국교회 앞에 없었던 새것을 내놓는 일이라기보다는 한국교회가 잊고 있었던 개혁교회의 중요한 유산을 되찾는다는 의미에서 역사적인 일이라고 본다. 2. 초대교회 예배음악‘시편찬송’ 일반적으로 구약 시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76x3/btrUNqW1a6n/O5HJRlbq73xa3YhHhdH8D1/img.jpg)
제 3의 물결 시대의 교회의 또 하나의 특징은 찬양사역이다. 음악을 활용하는 찬양은 하나님께 경배를 드리는 방법이므로 항상 있었다. 그러나 피터 와그너가 제 3의 물결 시대라고 말하는 현대에는 그 어느 때보다 찬양운동이 뜨겁게 펼쳐진다. 제 3의 물결의 선두주자인 존 윔버가 원래 세상의 재즈 음악과 락음악에 정통했던 음악가였기 때문이다. 존 윔버는 빈야드 운동을 시작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형태의 찬양운동을 전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거문고 타는 자가 거문고를 탈 때에 여호와께서 엘리사를 감동하시니.”(왕하 3:15) 성경에는 엘리사 선지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찬양드리고 기도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냥 기도해도 될 것이나 음악을 활용하면서 기도하여 하나님의 은혜를 더 풍성하게 누렸다고 기록되었다. 음악..
요즘 찬양이 심각하다. 최근 내가 사는 곳에서도 몇 교회가 연합하여 한국의 유명한 강명식 찬양 사역자를 초청하여 찬양 집회를 열었다. 모든 것이 나쁘지는 않았다. 평소에 우려하였던 것처럼, 왜 이런 노래를 왜 불러야 하는지 회의가 드는 순간이 있었다. 성도들이 모여서 찬양하게 하는 것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언제나 복음의 진리는 살아있어야 하고 분명해야 한다. 진리에 대한 바른 도전을 주지 못하면서 바른 복음으로 무장된 사람이나 거짓 영의 터치에 미혹되어 있는 사람 모두에게 즐거운 시간이 되는 찬양 집회는 아무 유익도 없고 오히려 손해만 초래한다. 사탄이 기도를 더럽히기 위해 24/7이라는 것을 퍼뜨린 것처럼, 찬양 속에도 사탄의 술수가 이미 들어와 있다. 사탄이 행하는 일을 칭송하는 기막힌 술수..
https://www.facebook.com/l.php?u=https%3A%2F%2Fsanghwanlee.com%2F2014%2F04%2F08%2F%25eb%258b%25a4%25ec%259c%2597%25ec%259d%2598-%25eb%25a7%2589%25ec%25b6%25a4%2F&h=_AQGTNyPmAQGmwk-4mwXPurS_Pvhcg_FDP98mJAHmUBouAg&enc=AZNnKMGGhUzngXKBnpnCku5QVQHvpc1QsjAQ2a4W-PohU4sOdTYDfxHjA-smkh2qFfyOf4RRLs2-3aa3eRpildnYDTmUJ8eRDERCMYne0ZptJOQwE0fQiAqtAnrOkz7eOHXNAAAQQkA_w53VDR5-Xk8X3B7Naf5ZIGBIhuFwC03XK8B2GvL9RX..
신학적 관점에서 본 CCM 나는 누구인가? 나는 CCM에 대해 신학적 분석을 부탁 받았지만, 전문적인 음악인도 아니며 CCM에 대해서도 문외한에 가까운 사람이다. 나는 CCM의 노래들을 충분히 듣고 섭렵한 사람이 아니며, 이 장르의 음악에 담긴 다양한 차원들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CCM은 홀로 존재하지 않고, 현대의 대중음악과 축을 같이할 뿐 아니라, 교회음악(혹은 예배음악)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므로 전문적인 음악적인 훈련을 쌓지 못한 사람으로서 나는 존재론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그렇지만 나의 신앙생활의 과정을 돌아보면 CCM과 무관하게 살아온 것 같지 않다. 나는 1969년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되었으며, 대학생선교단체에서도 생활하였으므로 한국교회에 "가스펠 송"이 도입되..
글쓴이:하찬송(http://cafe.daum.net/searchingfestival/RDek/270?sns=facebook&q=%ED%95%A9%EC%B0%BD%EC%9D%8C%EC%95%85%EC%9D%98+%EC%9D%B4%ED%95%B4+%EA%B7%B8+%EA%B8%B0%EB%B3%B8%EC%9A%94%EA%B1%B4%EC%9D%84+%EC%A4%91%EC%8B%AC%EC%9C%BC%EB%A1%9C+ 에서 복사해 옴) 합창음악의 이해 그 기본요건을 중심으로 합창음악의 기본요건 음악의 기본 Rhythm Intonation 연주의 기본 Tempo Dynamics 성악의 기본 Tone Diction 양상블의 기본 Blending Balance 해석의 기본 Form Style 합창음악의 기본요건 합창단원..
예수를 믿는 모든 사람들은 찬송하며 산다. 찬송은 존경하고 칭찬하는 행위이다. 즉 하나님을 존경하고 칭찬하는 것이 찬송이다. 찬송은 선택사항이 아니고 당연히 해야 하는 의무사항이다. 성경에서 찬양하라는 명령은 수를 셀 수도 없을 만큼 많이 기록되어 있다. 마지못해 하는 찬송이 아니고 감사와 기쁨으로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찬송이다. 하지만 간혹 언제 무엇을 어떻게 찬송해야할지 모를 때가 있다. 이 문제에 관해서 성경은 무엇이라고 말하는지 알아봄으로 도움을 얻고자 한다. 1. 왜 찬송해야 하는가? 시편 22:3을 보면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찬송 중에 계신다고 말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은 우리들의 찬양 중에 거하신다는 말씀이다. 이사야서 43:21절은 왜 우리가 찬송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말해주고 있다. ..
불완전한 인간이 완전하고 절대적인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란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하나님은 그런 인간들을 통해서도 찬양받기를 기뻐하시는 분이라는 것도 확실하다. 성경의 흐름을 보면 구약이나 신약 공히 하나님은 우리의 찬양받기를 기뻐하신다. 문제는 어떻게 찬양하느냐가 중요하다. 신구약의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약시대 성전의 찬양은 말할 것도 없이 전문가 집단의 찬양이었다. 그래서 그들의 찬양은 전문적으로 훈련된 집단이 자기의 모든 시간을 다 바쳐서 하는 찬양이었다. 찬양을 위해서 다른 일은 하지도 않은 사람들도 있다.(대상 9:33) 또 다른 선택된 집단의 사람들은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일주일간 성전에 와서 아침 저녁으로 하나님을 찬양했다 .(대상 9:25, 23:30) 이들은 평소에..
이달의 책 성경의 음악 John Stainer. 성철훈 역. 호산나 음악사. 261쪽. 1879, 1914 (영문), 1994 (국문) Stainer는 이 책의 제목을 "성경의 음악"보다 "악기의 발달"과 관련한 어떤 제목을 사용했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러나 고대국가의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것이 예술이든 종교든 전쟁이든 혹은 언어의 역사이든 결국은 책 중의 책인 성경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하게 될 것"이라고 Stainer는 설명한다. 「성경의 음악」은 교회음악에 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도서목록 가운데 빼 놓을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 책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이 출판된 지 120년이나 되었는데, 아직까지도 출판되고 있다는 점이 그 증거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rVFhh/btrPa372Cnv/Y0wcVMrCjVOOJrL3weYIS1/img.gif)
교회에서 어떤 음악을 사용할 것인가? Ⅰ. 들어가는 말 교회음악을 전공했거나 교회음악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이 문제에 관해서 한 두 번은 생각들을 해보았을 것이다. 이 문제에 관한 성경적인 관점과 교회음악의 역사적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교회음악이란 무엇인가? 넓은 의미의 교회음악이란 교회의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모든 음악을 다 교회음악이라 할 수 있다. 그 개론에 관한 것은 많은 교회음악 개론서들을 참고하거나 필자가 쓴 아가페 출판사에서 발행한 ‘오픈 찬송가’ 부록을 참고해도 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주로 교회 안에서 그것도 예배와 관련해서 사용되는 음악에 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우리 기독교 예배는 음악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음악이 없는 예배는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밀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5Jby/btrO9Doi9rK/fU24LnaaqLyqVi1qAMCHD0/img.gif)
솔로몬 성전의 찬양대에 관한 소고 오늘날 한국 개신교의 찬양대는 음악적인 면에서 선교 초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큰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신학적인 면에서 특히 예배학적인 측면에서 정리가 잘 되어 있지 못하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구약 성전에서의 찬양과 제사의 관계를 통해서 오늘의 찬양대가 배워야 할 것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 구약 시대 솔로몬 성전의 찬양대는 어떤 조직을 가지고 있었는지 그리고 연습은 어떻게 했는지 실제 연주의 장면은 어떠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1. 히브리의 전통과 관습이 성전 음악에 미친 영향 솔로몬 성전 찬양대의 조직에 앞서 성전 찬양대 이전에도 유대인들은 찬양을 위한 조직을 가진 적이 이미 있었다. 역대상 6장31절에서 32절 사이를 보면 다윗이 솔로몬 성전이 완공될..
필요한 성구 *이스라엘의 노래 잘 하는 자;삼하23;1 *솔로몬의 노래;1005편,왕상4;32 *규례대로 노래;대하23;18 *언약궤 성전에 안치;왕상8;11,대하5;11-14 *성전에서 찬양하는 자;대상6;31-16장 끝까지 *문지기 교대 7일마다;대상9;25 *언약궤 옮김 기럇여아림 아비나답의 집;삼하5장 *노래 부르는 자 구분;대상 25장-24반차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성전의 각종 제도를 직접 알려 주심;대상28;19 *찬양이 제사보다 귀하다;시69;30-31 *다윗이 수금 연주를 잘 함;삼상16;16-23 *찬양만 하고 달른 일은 안 함;대상9;33 *다윗이 라마 나욧으로 도망;삼상19;18 *이방신 섬길 때 뛰놈;왕상18;26,출32;6(앞 성구와는 다른 뜻임) *레위인 정년 30-50세;민4;..
음악 감독의 소명 노래하는 레위 사람... 세마포를 입고 단 동편에 서서...나팔부는 제사장 일백이십인이 함께 서 있다가 나팔 부는 자와 노래하는 자가 일제히 소리를 발하여 여호와를 찬송하며 감사하는데 나팔 불고 제금 치고 모든 악기를 울리며 소리를 높여 여호와를 찬송하여 가로되 “선하시도다 그 자비하심이 영원히 있도다” 하매 그 때에 여호와의 전에 구름이 가득한지라 ...이는 여호와의 영광이 하나님의 전에 가득함이었더라. -역대하 5:12-14 친애하는 음악 목회자님. 당신은 앞의 편지에서 내가 예배에서 반드시 음악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과 많은 사람들이 오늘날 음악을“예배시간”에 예배의 한 부분으로 잘못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 것을 상기할 것이다. 이 말도 사실이긴 하지만 음악이 회개..
회중 찬송가론 1.회중찬송의 역사 성경에 기록된 최초의 회중찬송은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변에서 부른 노래일 것이다(출 15장) 모세의 노래로 알려진 이 찬송은 그 가사가 성경에 기록되어 있어서 내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음악에 관해서는 알기가 어렵고 다만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나온지 얼마되지 않아서 불렀기 때문에 애굽에서 흔히 불려지던 어떤 선율이나 리듬에 맞춰서 함께 제창을 했으리라고 추측된다. 광야생활을 하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노래할 기회가 많지 않았으리라고 생각된다. 또한 가나안 땅에 들어간 후에도 회막과 성전시대를 통틀어서도 회중 찬송이 크게 발전할 기회는 많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스라엘 백성들의 제사는 제사장들에게 위탁된 것이었고 회중이 직접 참여하는 기회는 거의 없..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cnB0T/btsJvtd0y1l/zDt2Rdqyk2K9gFTWvCG8L0/img.jpg)
출애굽기 15장과 32장의 음악에 관한 비교 고찰 서론 한국 교회가 외형적으로는 급속한 성장을 했지만 그에 걸맞는 예배의식이나 예배음악등은 성장하지 못한 것 같다.그래서 많은 교회들에서는 예배의식에대한 문제와 그 예배에서 사용될 음악은 어떻게 선택하고 사용할까 하는 문제에 관해서 논의가 일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성경은 어떤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 개신교회의 예배음악이 바른 길을 찾기를 원한다. 본론 1.양 장의 음악의 배경 1) 15장의 배경 15장 1-21절 사이에는 모세와 백성이 부른 노래와 미리암이 화답한 노래가 나와 있다. 이 노래가 있게 된 배경은 출애굽한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군대의 추격을 받으면서 홍해에 이르러 진퇴양난의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하나님의 기적적인 도움으..
12:15:25 1. 들어가는말 오늘날 우리 교회 예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가 찬양이며 기독교인의 생활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어 가운데 하나가 은혜라는 말이다. 그런데 오늘날 이 두 단어만큼 남용이 심한 단어도 그리 흔치 않다. 어떤 면에서는 찬양과 은혜라는 이 용어를 빌어서 엉뚱한 일들도 행하고 있다. 그래서 이 두 용어의 의미와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은 매우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라 생각된다. 2. 본론 1) 찬양 성경에 기록된 찬양과 관련이 있는 단어들을 살펴보면 여러가지 단어가 있다. 그 중에 찬송,찬양,시,찬미,노래,송축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신.구약을 통틀어서 이 단어들은 하나님과 관련해서 많이 나타나며 특히 하나님의 구원 사역과 아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1. 예배의 정의 예수 그리스도를 중보로 한 인간과 하나님의 만남이다 2. 예배의 구분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예배를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예배 요소를 성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1)하나님께 드리는 부분:찬양, 기도, 헌금등 2)하나님께서 주시는 부분:성경봉독,설교등 3)성도 상호간의 교제 부분:광고,성도 상호간의 인사등 3. 예배의 역사 1)족장시대의 예배:제물 중심 2)성전 시대의 예배:제물 중심,의식과 형식 중시 3)신약시대의 예배:말씀중심의 예배로 바뀌면서 개신교에서는 설교의 비중이 강해진 반 면 예배가 하나의 의식(Liturgy)이라는 측면은 너무 무시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4. 예배와 음악의 관계 1)예배에서 음악의 역할 * 예배 자체로서의 기능:찬양은 그 자체가 이미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