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해파랑길 20코스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평화누리길 3코스
- 해파랑길 8코스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오블완
- 미시령 성인대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명동 성당 미사
- 북한산 만포면옥
- 단양 구담봉
- #강화나들길 3코스
- 평화누리길 4코스
- 평화누리길 7코스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앙코르와트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티스토리챌린지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김포 한재당
- 군위 팔공산
- 김포 문수산
- 해파랑길 48코스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성인대
- Today
- Total
목록2025/04/24 (13)
노래하는 사람

윤부장 부부와 우리 부부가 함께 아침 6시쯤 출발해서 송추쪽에서 올라가서 우이동갔다가 돌아오다.41년만의 개방이라서 그런지 계곡이 아주 깨끗하고 다래넝쿨에는 다래가 주렁주렁 달려있다.왼편으로 오봉이 잘 보이고 시간은 왕복 3시간이면 충분하고 남는다.

윤부장과 함께 산죽 따라 가다.만경사 입구에서 11시에 출발해서 2시간 걸려 서봉 도착하고 4시간 30분이 걸린 3시 30분에 어평리로 하산하다.정상 좀 아래에서 에서 다들 점심먹고 정상에서는 함백산과 태백산이 또렷이 잘 보인다.산목련이 늦게서야 피어있다.어평리로 거의 다 내려와서 계곡에서 알탕도 하다.촛대바위와 홈통바위등이 있고 어평리로 내려오면 화방재와 연결된다.

산죽산악회 따라 이끼폭포를 가다.정식명칭은 용소폭포지만 전국에 용소폭포라는 이름의 폭포가 많아서 이 폭포는 이끼폭포라고도 부른다.신비한 태고의 모습을 간직한 듯한 폭포다.도계 고사리 기차역 지나서 고사리라는 마을로 올라가서 임도를 따라 한시간 가량 가면 이 폭포에 도착한다.

오늘이 내 생일인데 우리 부부, 윤선생 부부, 그 누나, 그리고 그 동네 아줌마 두 분과 함께고려산을 수업끝나고 윤선생 집에서 점심을 같이 먹고 출발하다.3시경에 백련사쪽으로 산행을 시작해서 6시쯤 다시 원점 회귀하다.우리 나라에서 진달래가 가장 밀집한 산이다.

윤선생부부랑 그 누님 그리고 우리 부부가 포천에 있는 윤선생님 큰 누나 댁에 놀라 가다.맛있는 야채와 삼겹살로 점심을 먹고 윤부장과 둘이서 금주산을 금룡사에 차를 주차시키고 올라가다.약 30분이면 올라갈 수 있고 높이도 568M로 별로 높지 않은 산이다.들 복판에 우뚝 솟은 것 같은 산이지만 정상에서 한쪽은 들판이고 동쪽은 아마도 명지산쪽이고 그 오른쪽은운악산 능선이 보이는 것 같다.금룡사에서 올라가다보면 큰 불상이 있고 바로 아래에는 바위틈에 작은 공간들을 만들어서 불상들을 전시해 놓았다.특별한 인상을 주는 산은 아니었다.사진을 못 찍어서 다른 사람 사진을 퍼왔다.

지도를 보니까 마차산은 서쪽에 감악산이 있고 동쪽으로는 소요산이 있다. 전철을 타고 소요산 역에 내려서 길 건너지 말고 직진하다가 우회전하면 마을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길따라 계속가면 기도원이 나타나고 좀 더 올라가면 약수터 삼거리가 나타나는데 여기서 직진하면 계곡을 따라 정상으로 갈 수 있고 우회전하면 능선으로 올라가게 된다.그래서 능선으로 갔는데 어떨게 길을 잘못 들었는지 원래 계획과는 전혀 상관없는 곳으로 갔다.원 계획은 소요산역에서 올라가서 동두천역으로 내려올 계획이었다.그런데 이상한 곳으로 잘못가서 연천쪽에 있는 적암리라는 곳으로 내려왔다.길도 없는 곳을 헤치고 내려오느라 상당히 애를 먹었다.카메라도 찍을려고 보니까 메모리 카드가 없어서 빈카메라만 괜히 가지고 갔다 왔다.아마도 아래 지도와 같은..

아침 7시30분경 전철로 종로 3가에 가서 5호선으로 바꿔타고 천호역 7번 출구로 나가서 33-2번 버스를 타고 검단산 입구(에니메이션 고등학교 입구)에 내려서 09시55분에 산행시작하다.산 입구는 넓어서 많은 사람들이 함께 올라갈 수 있다. 어제 비때문인지 오늘도비가 온다고 한 일기예보 때문인지 사람들이 별로 많지 않았다.올라가다 무덤이 나오는데 무덤 앞에서 오른쪽으로 올라 가면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육산이지만 도중에 제법 가파른 암릉도 살짝 있어서 산행의 맛을 더해준다.일단 안부에 올라서면 왼쪽으로는 팔당호의 물이 계속 보여서 경치가 참 좋다.11시15분경에 검단산 정상에 도착하다. 여기서부터 용마산까지의 능선이 완만해서 여자들도 갈 수 있는 좋은 길이다.약간의 오르락 내리락이 물론 있긴 하지만..

산죽산악회를 따라 윤춘식 선생님과 함께 가다.경상남도 함양과 전북 장수의 경계선상에 있는 육십령에서 10시 30분에 출발해서 할미봉을 거쳐서봉을 지나고 정상인 남덕유산-동봉이라고도 부른다-까지 올라가는데만 꼬박 5시간이 걸렸다. 이 구간은 백두대간 구간이어서 대간꾼들이 중간중간에 좀 있었다.중간에 잔깐 점심을 먹고 가긴했지만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리는 거리다.정상에서 영각사까지 내려오니 약 6시간 40분 정도 걸려서 5시10분경이었다.오늘 날씨는 어제 황사를 몰고간 바람이 먼지를 싹 씻어내서 그런지 시계가 정말 좋았다.멀리 지리산 천왕봉이나 앞에 있는 광양 백운산 그리고 덕유산 향적봉까지 아주 또렷하게 잘 보였다.눈이 아직 많이 쌓여 있어서 아이젠을 해야하는 불편이 좀 있었지만 아주 좋은 산행이었다.출발..

윤부장 부부랑 우리 부부 4명이서 아침 8시에 출발했는데 눈이 오는 바람에 경기대 입구까지 가는데 3시간이나 걸렸다.어쨌건 경기대 입구에서 출발해서 형제봉 토끼재를 거쳐 광교산 정상인 시루봉까지 갔다가 백운산으로 갈려면 다시 되돌아 내려와서 왼쪽으로 가야하는데 그걸 잘 몰라서 사지쪽으로 알바를 한참 하고 다시 돌아와서 통신대를 거쳐 백운산 찍고 13번 버스 종점까지 와서 버스타고 다시 경기대 앞으로 와서 양평해장국에서 밥먹고 돌아오다.4시간이면 뒤집어 쓸 거리(약 11km)를 11시에 출발해서 4시 반쯤 내려왔으니 5시간 반이 걸리다.그래도 산이 완만해서 즐겁게 잘 다녀오다.

이하는 2011년 4월 9일 산행기아침 08시 백석역에서 이대장,둥글이 부부, 윤부장과 함께 5명이 윤부장 차로 출발하다.강화대교를 건너지 않고 초지대교로 돌아서 외포리 선착장 갔더니 09시 30분 배를 타게 되었다.석모도를 건너서 기다리고 있는 버스를 타고 10시에 보문사 앞에 내려서 상봉산 입구까지 걷다가마침 지나가는 트럭을 얻어타고 10시 30분에 산행을 시작하다. 상봉산까지 1시간 걸리고 상봉산 정상에서 오른쪽 보문사 내려가는 삼거리를 지나 보문사 위 눈섭바위부근에서 점심을 좀 일찍 먹고 낙가산을 지나 해명산으로 향하다.하루종일 안개가 자욱해서 시계는 아주 좋지 않았다. 2008년 겨울에 왔을 때도 안개때문에 바다를 볼 수 없었는데 이 산도 3대가 덕을 쌓아야 좋은전망을 볼 수 있는 것인지 아니..

아침 07시경 차를 몰고 외포리 선착장에 도착하니 석모도 가는 8시 발 배가 막 떠났다.그래서 30분마다 있는 다음배를 타고 10분만에 도착해서 전득이 고개까지 걸어가니 9시 20분 정도 되었다.전득이 고개를 출발해서 해명산 정상에 오르니 약 9시55분 정도 되다.계속해서 낙가산까지 가는데 도중에 눈이 오기 시작한다.먹이를 찾아 헤매던 고라니 한마리가 내 발소리에 놀라서 금방 능선을 넘어가 버린다. 오늘은 날씨가 흐려서 섬산행에서 즐길 수 있는 양쪽 바다의 탁 트인 즐거움을 느낄 수 가 없었다.계속 능선길을 오르락 내리락해서 낙가산에서 보문사 옆으로 내려가니 11시 40분 이었다.석포리 선착장에서 부터 여기까지 정확히 3시간이 걸렸다.보문사에는 입장료를 2,000원씩이나 받길래 들어가지 않고 그냥 거..

07시50분 마두역에서 전철타고 종로3가에서 1호선으로 갈아탄 다음 회기역에서 중앙선으로 다시 갈아타고 09시 40분 팔당역에 내려서 예봉산으로 올라가기 시작하다.능선으로 바로 안가고 단풍나무 쉼터가 있는 계곡을 따라 올라가다.11시 정각에 예봉산 정상 도착. 잠깐 사진 하나 찍고 운길산으로 가기 위해 철문봉쪽으로 내려가서 적갑산에 도착하니 11시 50분이다.계속 걸음을 재촉해서 운길산에 도착하니 1시 20분이다.예봉산 정상에서 운길산 정상까지 3시간 40분 정도 걸리다.운길산 정상에서 진중 3거리까지도 한 시간 정도 걸어서 도착하다.하산길은 수종사에 들러서 지난번에 아내랑 올라온 길로 내려가서 진중 3거리에서 버스타고 다시 팔당역에 와서 오후 3시 28분 기차를 타고 집에오다. 집에 오니 5시 30분이..

아침 09시 전철로 산본역에 가서 4번 출구로 나가니 1번 버스가 왔다.그걸 타고 산본 중학교 앞에 11시15분에 내려서 산행을 시작하다.태을 초등학교 옆 산림욕장으로 올라가서 안부에 이르니 왼쪽은 태을봉이고 오른쪽은 관모봉이다.관모봉이 300여 미터밖에 안되어서 갔다가 다시 되돌아와서 태을봉으로 향하다.관모봉에서 태을봉까지는 750m정도이고 태을봉에서 슬기봉까지 가는 길이 암릉도 있고큰 산은 아니지만 산타는 재미가 상당히 있다.이 길은 약 1.7km남짓되는 거리다. 400 m급의 산이지만 안양과 군포, 안산을 품고 있는 산이다.슬기봉은 표지석도 없이 안내표지판에 슬기봉이라는 글자만 있다.여기서 수암봉가는 길은 군부대 근처를 지나는 관계인지 계단이 잘 만들어져있고 정비가 잘 되어있다.그런데 수암봉1.2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