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노래하는 사람

천의무봉 본문

참고자료

천의무봉

singingman 2022. 11. 1. 11:01
728x90

천의무봉
천의무봉天衣無縫 , 天衣无缝 , tiān yī wú fèng

풀이하늘 천 · 옷 의 · 없을 무 · 꿰맬/솔기 봉



하늘 선녀들의 옷은 꿰맨 자국이 없다. 시나 문장이 꾸밈없이 자연스럽게 잘된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출전

「태원(太原)에 사는 곽한(郭翰)은 젊은 시절 권문세가를 우습게 여기고 청정(淸正)한 명성을 누리며 살았다. 그는 잘생긴 데다 언변이 뛰어났고 초서와 예서에 능했는데, 일찍 부모님을 여의고 혼자 살고 있었다.

어느 더운 여름날, 그가 정원에서 달빛을 감상하며 누워 있는데 홀연 맑은 바람에 향기가 전해지더니 갈수록 진해졌다. 곽한이 기이하게 생각하고 하늘을 바라보자 한 사람이 공중에서 내려와 곽한에게 다가왔는데, 보니 젊은 여자였다. 이 여인은 절세미인으로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그녀는 검은색의 얇은 주단 옷에 흰 비단 날개옷을 땅에 끌면서, 물총새 깃털로 만든 봉황모를 쓰고 아름다운 옥 문채가 나는 아홉 가지 도안이 새겨진 신발을 신고 있었다. 이 여자를 수행하는 두 명의 시녀도 모두 뛰어난 자태를 지니고 있어 곽한은 마음이 마구 흔들렸다.

곽한은 의관을 가지런히 하고 평상에서 내려와 인사를 하며 말했다. “존귀한 신선이 갑자기 강림하실 줄은 생각지도 못했습니다. 좋은 이야기를 들려주십시오.” 여자가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저는 천상의 직녀(織女)랍니다. 오랫동안 남편과 상대를 하지 못해 이 좋은 시절에 떨어져 있다 보니 마음속에 생각이 가득하였는데, 상제께서 은혜를 내리셔서 인간세계에 가서 놀도록 해 주셨답니다. 당신의 고매한 풍채를 사모하고 있어 당신에게 몸을 의탁하고 싶습니다.” 곽한이 말했다. “감히 바라지는 못하지만 정말로 감개가 무량합니다.”

직녀는 시녀에게 명하여 방을 청소하고 매미 날개 같은 붉은 비단 휘장을 치게 하고, 수정과 아름다운 옥을 깔게 하고, 부채를 돌려 바람이 일게 하도록 하니 그야말로 시원한 가을과 같았다. 그들은 손을 잡고 안으로 들어가 옷을 벗고 함께 누웠다. 직녀는 몸에 가볍고 붉은 얇은 주단 속옷을 입었는데, 마치 작은 향주머니인 양 향이 온 방안에 가득 찼다. 침대 위에는 용뇌향이 나는 베개가 놓여 있었고, 원앙 무늬 이불이 깔려 있었다. 여자는 부드러운 피부에 매끄러운 몸매, 친밀한 감정, 애교가 철철 넘치는 태도 등, 그 용모가 이 세상의 아무리 아름다운 여자라도 비할 수가 없을 정도였다. 날이 밝자 여자가 떠나려고 하는데, 얼굴에 분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 같아 곽한이 여자의 얼굴을 닦아 주었는데, 그게 그녀의 본래 모습이었다. 곽한은 여자를 문까지 배웅했고, 여자는 구름 위로 올라갔다.

그 후로 여자는 매일 밤마다 곽한을 찾아왔고, 두 사람은 갈수록 정이 깊어졌다. 곽한이 여자에게 농담을 던졌다. “견우(牽牛)는 어디에 있소? 당신은 어떻게 대담하게 혼자 나올 수 있었소?” 여자가 대답했다. “음양의 변화가 그 사람과 무슨 관계가 있겠어요? 게다가 은하에 막혀 있어 알 수도 없지요. 설령 안다 해도 걱정할 것도 없지요.” 그러고는 곽한의 가슴을 만지며 말했다. “세상 사람들이 자세히 보지 않을 뿐이지요.” 곽한이 말했다. “당신은 별세계에 살고 있는데 별세계의 일을 이야기해 줄 수 있소?” 여자가 말했다. “사람들이 별세계를 보면 다만 별로만 보일 뿐이지만, 그 안에는 궁실과 집들이 있고, 많은 신선들이 그곳에서 유람하고 구경을 하고 있지요. 만물의 정수는 하늘에 그 길흉화복의 별자리가 있고 그것이 땅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지요. 하계 사람들의 변화는 반드시 하늘에서 나타난답니다. 나는 성상을 보면 명확히 알 수 있지요.” 그러고는 곽한에게 별자리의 분포와 방위를 가르쳐 주고 하늘의 법률제도를 자세하게 가르쳐 주었다. 그래서 곽한은 사람들이 잘 알지 못하는 일들을 깊이 이해하고 알게 되었다.

그 후, 칠월 칠석이 다가왔는데, 갑자기 여자가 더 이상 오지를 않다가 며칠이 지난 다음에 왔다. 곽한이 여자에게 물었다. “남편을 만나 즐거웠소?” 여자가 웃으며 대답했다. “하늘의 일을 어디 인간 세상과 비교할 수 있나요? 마땅히 그렇게 해야 하므로 한 것이지, 다른 까닭이 있었던 것은 아니랍니다. 질투하지는 마세요.” 곽한이 물었다. “그런데 왜 이렇게 늦게 왔소?” 여자가 대답했다. “인간세계의 닷새가 하늘에서는 하룻밤이랍니다.” 여자는 곽한을 위해 하늘의 음식들을 차렸는데, 모두 세상의 음식들이 아니었다. 곽한은 천천히 여자의 옷을 보았는데 꿰맨 자국이 전혀 없었다. 곽한이 여자에게 그 까닭을 묻자, 여자가 대답했다. “천상의 옷은 원래 바늘과 실로 짓지 않는답니다.” 여자는 갈 때마다 옷을 챙겨 가지고 갔다.(後將至七夕, 忽不復來. 經數夜方至. 翰問曰, 相見樂乎. 笑而對曰, 天上哪比人間, 正以感運當爾, 非有他故也. 君無相忘. 問曰, 卿何來遲. 答曰, 人中五日, 彼一夕也. 又爲翰致天廚, 悉非世物. 徐視其衣, 幷無縫. 翰問之. 謂曰, 天衣本非針線爲也. 每去, 則以衣服自隨.)

일 년이 지난 어느 날 밤, 여자가 슬픈 얼굴로 눈물을 흘리며 곽한의 손을 잡고 말했다. “상제의 명령이 오늘까지랍니다. 이제 영원히 헤어져야 한답니다.” 말을 마치고는 우는데, 울음을 그치지 않았다. 곽한은 놀라 안타까워하며 말했다. “그러면 며칠이나 남았소?” 여자가 대답했다. “오늘 밤밖에 남지 않았답니다.” 두 사람은 슬퍼 눈물을 흘리느라 다음 날 날이 밝을 때까지 잠을 이루지 못했다. 날이 밝자 여자는 곽한을 껴안고 이별을 고하며, 칠보 밥그릇 하나를 선물로 남기면서 내년의 아무 날에 서신을 보내 안부를 묻겠다고 말했다. 곽한은 옥팔찌 한 쌍을 선물로 주었다. 여자는 허공을 향해 올라갔다. 여자는 머리를 돌려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들어 주었다. 곽한은 여자가 그리워 병이 들면서까지 한시도 잊을 수가 없었다.

다음 해 약속한 날이 오자, 여자는 과연 이전에 왔었던 시녀를 통해 편지를 보내왔다. 곽한이 편지를 열어 보니 푸른색의 실로 엮은 비단으로 만든 바탕에 연단(鉛丹)으로 글씨를 썼는데, 언어가 청신하고 아름다웠고, 정이 깊이 배어 있었다. 그리고 편지의 말미에 두 수의 시가 쓰여 있었다. ······ 곽한은 향기 나는 편지지에 간절한 답서를 썼다. 그리고 역시 시 두 수를 첨부했다. ······ 그 후로부터 두 사람 소식이 완전히 끊어졌다. 그 해, 태사가 직녀성이 빛을 잃었다고 황제에게 보고했다. 곽한은 직녀를 그리워하다 보니 이 세상의 어떤 아름다운 여자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후에 종사(宗嗣)를 잇기 위해 억지로 정(程)씨 집안의 딸을 맞이했으나 마음에 들지 않았고, 또한 자식도 생기지 않았으므로 결국 서로 반목하고 원수가 되고 말았다. 곽한은 관직을 시어사(侍御史)까지 지내고 죽었다.」

이 이야기는 오대(五代) 시절 전촉(前蜀)의 우교(牛嶠)가 지은 《영괴록(靈怪錄) 〈곽한(郭翰)〉》에 나오는데, 여기에서 유래하여 ‘천의무봉’은 시나 문장이 자연스럽게 잘된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곽한의 이야기를 원본과는 달리 다음과 같이 내용을 변형시킨 자료도 있는데, 이는 아마도 원본의 이야기가 미성년자들에게 이야기해 주기 부적합하다고 생각하여 편집한 것이 아닌가 싶다.

「태원에 사는 곽한은 시문(詩文)과 서예(書藝)에 능하고 익살이 넘쳐 농담하기를 좋아했다. 어느 여름날 밤, 나무 밑에 누워 바람을 쐬고 있는데 아주 아름다운 선녀가 웃음을 지으며 곽한에게 다가왔다. 곽한이 예의 바르게 물었다. “아가씨는 뉘시며, 어디서 오셨는지요?” 선녀가 대답했다. “저는 하늘에서 온 직녀입니다.” “하늘에서 왔으면 하늘의 일을 이야기해 줄 수 있겠군요” “무엇을 알고 싶으신가요?” “뭐든지 다 알고 싶습니다.” “무엇부터 이야기할까요?” “선녀들은 총명하다고 하던데 아무거나 이야기해 주십시오.” “하늘은 사철이 봄과 같답니다. 여름에 무더위도 없고 겨울에 혹독한 추위도 없지요. 나무는 사시사철 푸르고 꽃도 지지 않지요. 나뭇가지에서는 온갖 새들이 노래를 부르고 물속에서는 물고기들이 노닙니다. 질병도 없고 전쟁도 없고 세금도 없지요. 인간 세상의 모든 고난이 하늘나라에는 없답니다.” “하늘나라가 그렇게 좋은데 인간 세상에는 왜 왔습니까?” “다행히 당신은 공부를 한 사람이라 이야기를 할 만하군요. 이전에 장주(莊周)가 말했지요. 난(蘭) 꽃이 가득한 집에 오래 있으면 향기를 맡을 수 없다고요. 하늘나라에 오래 살다 보니 적막하여 종종 인간 세상에 와서 놀곤 하지요.” “먹으면 장생불로하는 약이 있다고 하던데 어디에 있는지도 알겠군요.” “그런 약은 인간 세상에는 없지만 하늘에는 도처에 있지요.” “하늘에 도처에 있다면 좀 가져와서 사람들에게 맛보게 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가져올 수 없답니다. 하늘의 물건을 인간 세상에 가져오면 영험을 잃게 되지요. 그렇지 않았다면 진시황(秦始皇)과 한무제(漢武帝)도 다 먹지 않았겠어요?” “말끝마다 하늘나라를 말하는데, 당신의 말이 거짓이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지요?” 선녀는 곽한에게 자신의 옷을 보여 주었다. 곽한이 자세히 보니 옷에 꿰맨 자국이 없었다. 곽한이 그 까닭을 묻자 선녀가 말했다. “하늘나라의 옷은 본래 바늘과 실로 짓지 않는답니다.”(徐視其衣幷無縫. 翰問之. 曰, 天衣本非針線爲也.) 곽한이 이 말을 듣고 하하 하고 웃다가 다시 보니 선녀는 온데간데없었다.」

용례

사람들은 시선(詩仙) 이백(李白)과 시성(詩聖) 두보(杜甫)의 시를 ‘천의무봉’의 경지에 오른 작품이라고들 평가한다.

#고사성어

콘텐츠 저작권 규정 오류 수정 문의

글김성일

김성일(金聖日)은 문학박사. 전라북도 도청에서 국제정책전문위원으로서 중국과의 국제교류 업무를 담당하는 한편, 단국대학교, 전남대학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백석대학교 등에서 중국어문학을 가르쳤다. 현재 중국 창수리공常熟理工대학 한국어과 교수다. 학술논문과 국제교류 관련 연구보고서 20여 편을 발표했으며, 지은 책으로 《생활한자공부사전》(시대의창)이 있다.

출처 고사성어대사전 |시대의창 전체항목

선인의 경험이 깃들어 있고, 지혜와 지식의 보고인 고사성어. 우리 생활과 밀접한 일상의 언어이기도 하다. 고사성어에 얽힌 역사적 사실과 문화적 배경을 철저한 조사와 고증으로 소개한다.

함께 보면 좋은 내용

의예담

#고사성어 인기글

고사성어대사전삼고초려

초가집을 세 번 돌아보다. 유능한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후한(後漢) 말엽, 유비(劉備)는 관우(關羽), 장비(張飛)와 의형제를 맺고 한실(漢室)의 부흥을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하지만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잡지 못하고 여기저기 전전하며 세월을 허송하다가 마지막에는 형주자사 유표(劉表)에게 몸을 맡기는 신세가 되었다. 유능한 참모의 필요성을 절감한 유비는 여러 사람들을 통해 남양(南陽)에 은거하는 제갈량(諸葛亮)의 존재를 알게 되었고, 관우, 장비와 함께 예물을 싣고 양양(襄陽)에 있는 그의 초가집을 세 번이나 방문한 끝에 그를 군사(軍師)로 모실 수가 있었다. 이때 제갈량은 27세, 유비는 47세였다. 이렇게 유비가 제갈량을 세 번 방문한 것을 이르러 ‘삼고초려(三顧草廬)’, 혹은 ‘삼고모려(三顧茅廬)’라고 하는데, 실제로 이 말은 제갈량이 첫 번째 북벌(北伐)을 나서기 전, 후주 유선(劉禪)에게 바친 〈출사표(出師表)〉에서 찾아볼 수

고사성어대사전우공이산

우공(愚公)이 산을 옮기다. 어떠한 어려움도 굳센 의지로 밀고 나가면 극복할 수 있으며, 하고자 하는 마음만 먹으면 못 할 일이 없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태형산(太形山)과 왕옥산(王屋山)은 사방 700리에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데, 기주(冀州)의 남쪽과 하양(河陽)의 북쪽 사이에 있다. 북산(北山)의 우공은 나이가 아흔이 다 되었는데 산이 마주 보이는 곳에 거주했다. 그런데 북산이 막고 있어서 출입을 하려면 길을 우회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우공은 집안 식구들을 모아 놓고 말했다. “나와 너희들이 힘을 다해 험준한 산을 평평하게 만들면 예주(豫州)의 남쪽으로 직통할 수 있고 한수(漢水)의 남쪽에 다다를 수 있는데, 할 수 있겠느냐?” 모두들 찬성했는데 부인이 의문을 제기했다. “당신의 역량으로 괴보(魁父)의 언덕도 깎아 내지 못했는데, 태형과 왕옥을 어떻게 해낸단 말이오? 더구나 흙과 돌은 어디다 버린단 말이오?” 그러자 모두들 말했다. “발해(渤海)의 끝과 은토(隱土)의

고등교과서 윤리와사상일체유심조

원효는 어릴 때 황룡사로 들어가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34세가 되던 해에 원효는 8살 아래인 의상과 함께 공부를 좀 더 하기 위해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하지만 고구려 땅을 거쳐 중국으로 가려고 하다가 고구려 군사들에게 붙들리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1년 뒤 두 번째 유학을 떠나기 위해 의상과 함께 백제의 옛 땅을 거쳐 바닷길로 중국에 가려고 했다. 그런데 도중에 그만 날이 저물어 무덤 속에서 잠을 자게 되었다. 한밤중에 목이 말라 물을 찾다가 바가지에 있는 물을 아주 맛있게 마시고 다시 잠이 들었다. 아침에 일어나 보니, 간밤에 마신 물은 해골에 고인 물이었다. 원효는 너무 놀랍고 역겨운 나머지 구역질을 하였고, 그 순간 ‘모든 것은 마음이 지어낸다.’ 라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해골에 담긴 물은 어제 달게 마실 때나 오늘 구역질이 날 때나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았다. 다만, 어제와 오늘 달라진 것은 자신의 마음이라는 것을 깨닫고 “마음이 생겨나므로 모든 것이

고사성어대사전지록위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윗사람을 농락하고 함부로 권세를 부리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은 자신을 진(秦)나라의 처음 황제라는 뜻의 시황제(始皇帝)라 칭하고 후계자들을 이세 황제, 삼세 황제라는 식으로 호칭하도록 만들어 진나라가 영원히 번영하기를 기원했지만, 제5차 순행 도중에 중병에 걸리고 말았다. 그는 자신의 천수가 다했음을 직감했던지 환관(宦官) 조고(趙高)에게 명하여 큰아들 부소(扶蘇)에게 주는 편지를 만들게 하였다. 편지에는 ‘군사를 몽념(蒙恬)에게 맡기고 함양(咸陽)에서 나의 관을 맞아 장사를 지내도록 하라.’고 쓰도록 했다. 큰아들 부소에게 자신의 장례를 주관케 하라는 유서였던 것이다. 편지가 봉함되어 사자의 손에 전해지기도 전에 시황이 승하하였다. 편지와 옥새는 모두 환관 조고가 지니고 있었다. 시황의 죽음을 아는 사람은 다만 호해(胡亥)와 승상 이사(李斯)와 조고, 그리고 심복 환관 오륙 명뿐이었다. 조고는 먼저 호해를 설득한 다음, 회유와 협

검색

Daum로그인PC화면백과홈© Kakao Corp.맨위로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이라는 나라  (0) 2022.11.02
법정스님 글모음  (0) 2022.11.02
2011 기독교계상황 2012-01-17  (0) 2022.10.28
마야 문명 - 치첸이차 피라미드  (0) 2022.10.25
html 수업  (0) 2022.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