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해파랑길 8코스
- 단양 구담봉
- 명동 성당 미사
- 북한산 만포면옥
- 김포 한재당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티스토리챌린지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성인대
- 해파랑길 48코스
- 평화누리길 4코스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강화나들길 3코스
- 군위 팔공산
- 해파랑길 20코스
- 앙코르와트
- 평화누리길 3코스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평화누리길 7코스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미시령 성인대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김포 문수산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오블완
Archives
- Today
- Total
노래하는 사람
대학 이동환 역해 현암사 2008년 207쪽 ~10/19 본문
728x90
대학은 ≪예기≫에서 ≪중용≫과 ≪대학≫의 두 편을 독립시켜 사서 중심의 체재를 확립하였다.
49편으로 구성된 ≪예기≫ 중 제42편이 ≪대학≫에 해당한다. 주희는 ≪대학≫에 장구(章句)를 짓고 자세한 해설을 붙이는 한편, 착간(錯簡 : 책장 또는 편장의 순서가 잘못된 것)을 바로잡았다.
그는 전체를 경(經) 1장, 전(傳) 10장으로 나누어 ‘경’은 공자(孔子)의 사상을 제자 증자(曾子)가 기술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생각을 그의 문인이 기록한 것이라고 하였다.
≪대학≫의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전통적으로는 ≪중용≫과 ≪대학≫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대학≫의 내용은 삼강령 팔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령은 모든 이론의 으뜸이 되는 큰 줄거리라는 뜻을 지니며,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親民]·지어지선(止於至善)이 이에 해당되고, 팔조목은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를 말한다.
己所不欲 勿施於人의 혈구지도(내 마음으로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짐작한다)가 중요한 가르침이다.
격물치지는 사물을 분명히 알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고 성의 정심은 온 뜻을 다해서 마음을 바르게 가지라는 것이다. 그 후에 수신은 예의 범절등을 익혀서 몸가짐을 바르게 한 후에 제가 치국 평천하하라는 주장이다.
주례에 의하면 소송은 5청으로 사건의 진상을 파악했다고 한다.
1. 사청~소송 당사자들의 진술 태도를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말이 수다스럽다.
2. 색청~얼굴색을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얼굴이 빨개진다.
3. 기청~숨쉬는 것을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숨소리가 헐떡거린다.
4. 이청~말을 듣는 태도를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헛갈리게 듣는다.
5. 목청~눈동자를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눈동자가 맑지 못하다.
49편으로 구성된 ≪예기≫ 중 제42편이 ≪대학≫에 해당한다. 주희는 ≪대학≫에 장구(章句)를 짓고 자세한 해설을 붙이는 한편, 착간(錯簡 : 책장 또는 편장의 순서가 잘못된 것)을 바로잡았다.
그는 전체를 경(經) 1장, 전(傳) 10장으로 나누어 ‘경’은 공자(孔子)의 사상을 제자 증자(曾子)가 기술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생각을 그의 문인이 기록한 것이라고 하였다.
≪대학≫의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전통적으로는 ≪중용≫과 ≪대학≫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대학≫의 내용은 삼강령 팔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령은 모든 이론의 으뜸이 되는 큰 줄거리라는 뜻을 지니며,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親民]·지어지선(止於至善)이 이에 해당되고, 팔조목은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를 말한다.
己所不欲 勿施於人의 혈구지도(내 마음으로 미루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짐작한다)가 중요한 가르침이다.
격물치지는 사물을 분명히 알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고 성의 정심은 온 뜻을 다해서 마음을 바르게 가지라는 것이다. 그 후에 수신은 예의 범절등을 익혀서 몸가짐을 바르게 한 후에 제가 치국 평천하하라는 주장이다.
주례에 의하면 소송은 5청으로 사건의 진상을 파악했다고 한다.
1. 사청~소송 당사자들의 진술 태도를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말이 수다스럽다.
2. 색청~얼굴색을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얼굴이 빨개진다.
3. 기청~숨쉬는 것을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숨소리가 헐떡거린다.
4. 이청~말을 듣는 태도를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헛갈리게 듣는다.
5. 목청~눈동자를 살펴보면 정직하지 못할 경우 눈동자가 맑지 못하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비자의 관계술 김원중 저 위즈덤 하우스 2012년 341쪽 ~11/5 (0) | 2023.04.13 |
---|---|
춘추좌전 좌구명 인간사랑 2017년 상권 909쪽 하권 896쪽 ~10/31 (0) | 2023.04.12 |
아비투스(Habitus) 도리스 메르틴 다산초당 2020 346/367쪽 ~10/14 (2) | 2023.04.11 |
조선의 백과사전을 읽는다. 이철 알마 2011년 397/410쪽 ~10/09 (0) | 2023.04.10 |
정조처럼 소통하라 정창권 사우 2018년 268쪽 ~10/08 (1)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