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강화나들길 3코스
- 김포 한재당
- 오블완
- 성인대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해파랑길 48코스
- 평화누리길 4코스
- 명동 성당 미사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티스토리챌린지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김포 문수산
- 앙코르와트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평화누리길 7코스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해파랑길 8코스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군위 팔공산
- 미시령 성인대
- 북한산 만포면옥
- 단양 구담봉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해파랑길 20코스
- 평화누리길 3코스
- Today
- Total
노래하는 사람
한국미를 만나는 법 이광표 이지출판 2013년 310쪽 2018.1/25~1/26 본문
한국의 문화재와 그림들을 소개하고 설명한 책
저자는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와 대학원 국문학과를 나와 동아일보에서 우리 문화재를 알리는 글들을 써 왔다.
이 책에 나와 있는 문화재와 그림들을 옮긴다.
아래 그림은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https://blog.kakaocdn.net/dn/NyUcl/btrWQ5rHbuj/2tKEW9bEZiBHgyOBVfw5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tNZtP/btrWRQ8ubfw/FZZSFGIeA9xnDzxLON8Va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fNNvg/btrWVLruV84/vEx6RSd5PraFKTzkqGsY2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fg0um/btrWXhXYDKe/dhwdVIvoVEsTIODhBznk0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28VtG/btrWSv31VO6/OPs4PfaqCTwCS8759Yz5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wHYg0/btrWU72uMjQ/8qtERPODVOLfHikiugReq1/img.png)
이 항아리에 그려진 포도무늬도 아름답지만 항아리 자체가 아름답다.
![](https://blog.kakaocdn.net/dn/o5CGN/btrWUbRAaG5/KtptDxp9mw59ETJulj5dEK/img.png)
백자와 분청사기의 차이점은 백자는 백토(白土)로 만든 형태 위에 무색 투명의 유약을 입혀 1,300℃∼1,350℃ 정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자기의 일종이고 분청사기는 '백토로 분장한 회청색의 사기'라는 것이다.
백자에는 조선시대 유교문화와 선비정신이 담겨있다. 유교는 반듯하고 검약한 삶을 추구했으며 선비들은 지조와
학문을 숭상했다. 이것을 대표하는 색깔을 흰색에서 찾는 것 같다.
백자표면에는 매란국죽이 많이 들어가고 이는 유교가 추구하는 군자에 비유되는 4군자다.
![](https://blog.kakaocdn.net/dn/LbWht/btrWSviBt2w/3nqKPQskEimJKpBZiu2gK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mHHkT/btrWQXtKJTf/6XGsnKTszkZ5r06TtOLVY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SNzV3/btrWXjVNChz/ZcB2edFYIgr7BlkDcRFeD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0CgZh/btrWSwIE3jI/WjPJASOmq4FK04qUvpUO4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6IhyB/btrWQXUKnay/vVEQl7V446mf8KOcrGbrbk/img.png)
문창살중 아름다운 것은 경복궁 근정전과 불갑사 대웅전의 꽃살문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EAK3Y/btrWS1PfTg9/yMXkyxjreKcXusKwqZp8l0/img.png)
아름다운 돌다리로는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와 연화교 칠보교가 있다.
그리고 순천 선암사의 승선교가 아주 아름답다.
![](https://blog.kakaocdn.net/dn/bmEEol/btrWUdID1X9/T1TPbDy8Nw4akoCi8KA4tK/img.png)
아름다운 근대 건축물로는 명동성당과 신세계 백화점 맞은편에 있는 한국은행 그리고 서울역을 들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mIRue/btrWWrTVdq8/fnuPkJZdBw7SR8mhPuOeq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2ctuM/btrWRd372Ak/BL6zKtT574sK2H1WABEFV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hhnkZ/btrWVKF5H0N/7ffKbULakTbN4VZTeHGup0/img.png)
다른 책에서 본 옛 그림들도 많이 있다. 워낙 유명하고 이미 다른 책에서 소개했던 그림들은 생략하고 간다.
정선 인왕제색도,신윤복 월하정인,
![](https://blog.kakaocdn.net/dn/bvDZ3e/btrWUcwaBXe/3BcbYixFXAgXkchJDrLs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XnOLB/btrWUcCYpr9/5uZ8pgpL4XTql5APEWx4U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ASq2H/btrWRjJ0sEV/BfK3kP93QotTZY5USK5X0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PAEzR/btrWQYe6xBI/UzBem8doNz5yZZ6gtGJm4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9cWry/btrWS3GgdmX/iNBO8zkghDJb0QjkCczan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vIum/btrWSwu254l/3HhBkB0w2UcfB6xTvigic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q7YDL/btrWRdb2LFv/yVkjZDH4jtOl5uqFI8xeY0/img.png)
아래 신윤복의 사시장춘을 어떤 사람들은 춘화로 분류하기도 한다.
그림을 잘 보면 왜 이렇게 분류하는지 이해도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ljalL/btrWS2m4FbX/PXjsUHC0BOpUfvXMv9aEs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5oHRO/btrWRX0MecC/x71TKcW0tq6ZjaAPqko5XK/img.png)
소림이라는 말은 나무가 듬성듬성한 수풀을 말한다. 뿌연 밤하늘에 듬성듬성한 나무 뒤로 떠 오르는 달이
아주 몽환적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XZ3pn/btrWUH3WR0g/zvkcVhHFE8z2Ak11imJ0Zk/img.png)
위의 그림은 우리 50,000원권 화폐 배경 무늬로 사용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cXoYL/btrWXjnW74Z/9kFIKGXDoSNDlcq8bPuW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APyPR/btrWXivNZap/DanK3OOoTeTVS1MXgzdgV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GDnpu/btrWVLLL34Q/HIeLkKDosM1RgezkwZ1OMK/img.png)
고양이와 나비가 노는 그림을 모질도라고 한다.
위 그림에 나타난 고양이 묘(猫)는 중국어로 70세 노인을 뜻하는 모(耄)자와 발음이 같고 나비를 뜻하는
접(蝶)은 중국어로 80세 노인을 뜻하는 질(耋)자와 발음이 같다. 그래서 모질도는 노인의 생일 축하선물용이다.
![](https://blog.kakaocdn.net/dn/MOgg7/btrWVLdXJtO/D0D8GnkvCQKAiUCrbhvIr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HTcDV/btrWR8nvAxl/KklaaSkLIRw5tdiyDXao11/img.png)
심사정은 역모사건에 연루된 심익창의 손자다. 그러니 그 인생이 힘들었을 것은 뻔하다.
이 딱따구리는 심사정 자신의 자화상이라 말할 수 있을만큼 처량해 보인다.
화폐 속에 나오는 그림과 인물들도 이 책에 언급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LhUH8/btrWU7VIMaH/mFRtXDtFLWEpgka8hHk56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vi1Ih/btrWRzTqiOR/Ekb5Xzy7m4Qf22HkBLxw01/img.png)
50,000원권에는 전면에 신사임당이 모델인물로 들어갔고 그 옆에는 그녀의 작품으로 전해 오는 묵포도도와
초충도 그림이 있고 뒷면에는 뒷면에는 16세기 화가인 어몽룡의 월매도와 앞에서 언급한 이정의 풍죽도가
들어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OEQ9a/btrWTJOsPZG/FYYls1Kp7TnMJ8UeMrvf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ccy8/btrWVKMRzBA/97oP68LOF409kaDuhlAQQ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erLkC/btrWWrTVikS/BfGeIiCpUHkJZyOGpFeRnK/img.png)
10,000원권 전면에는 세종대왕 초상과 용비어천가, 일월오봉도가 있고 뒷면에는 혼천의와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체망원경이 들어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xMM9v/btrWX5XoiE2/iMk0F1avkftSJ8qKk1ho1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Ijmfk/btrWQ5yqcdA/lWjIGvpHj4B7nnkvWFP9F1/img.png)
구 만원권 전면에는 세종대왕과 자격루로 보이는 시계와 용무늬가 있고 후면에는 경회루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QFQx7/btrWS3GgfmS/6CcMzVDmJ10erL3TFgDDm0/img.png)
5,000원권에는 율곡 초상과 강릉 오죽헌,오죽으로 보이는 대나무, 전통 조각보, 어머니 신사임당의 초충도가
여기도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7yUAY/btrWRka2Qjc/10gCbkPYoE9pq5i4gCWsX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6Wu0l/btrWR7B8mY7/NmB1N9uBv4Kb37ahDamhWK/img.png)
1,000원권에는 내가 좋아하는 퇴계선생의 초상과 투호 도구 창호 무늬, 성균관 명륜당이 있고 뒷면에는
정선의 계상정거도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sUsnH/btrWUHv5jsJ/sybFlQqA2KufCmN6HvA0N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R91vM/btrWU7g6ifM/VdaUUiNwGW0yEh7DIa9DfK/img.png)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중일기 이순신 저 노승석 역 민음사 2010년 449/850 2018.1/27~1/31 (0) | 2023.01.23 |
---|---|
탕부 하나님(rhe Prodigal God) 팀 켈러 두란노 2016년 192쪽 2018 01.29~30 (0) | 2023.01.23 |
사찰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허균 저 돌베개 2000년 272쪽 2018. 1.21~1.24 (1) | 2023.01.22 |
산사의 미를 찾아서 박보하 다른 세상 1999년 245쪽 2018.01.20 (0) | 2023.01.21 |
승효상 승효상 컬처그라피 2012년 281쪽 2018.01.19~20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