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군위 팔공산
- 해파랑길 20코스
- 단양 구담봉
- 해파랑길 8코스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명동 성당 미사
- 성인대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앙코르와트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북한산 만포면옥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해파랑길 48코스
- 평화누리길 3코스
- #강화나들길 3코스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평화누리길 7코스
- 미시령 성인대
- 티스토리챌린지
- 김포 문수산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평화누리길 4코스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김포 한재당
- 오블완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Today
- Total
노래하는 사람
코페르니쿠스보다 100년 먼저 지동설 주장한 이순지 2019-11-13 본문
우리는 세계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사람이 코페르니쿠스이고, 증명한 사람이 갈릴레오라고 배우며 자랐습니다.
그런데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장한 1543년보다 100년 빨리 지동설을 주장하고 증명한 학자가 조선에 있었다는 사실은 배우지 못했습니다.
세종시대 학자인 이순지가 바로 주인공입니다.
이순지는 월식을 보고 월식이 진행될 때 보이는 그림자가 바로 지구의 그림자이고, 그 그림자가 둥글다는 것을 관찰하여 '지구는 둥글고 태양의 주위를 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자 다른 학자들이 '그렇다면 증명하라. 월식이 언제 발생하는지를 증명해낸다면 그 말을 믿겠다'고 했고, 월식이 언제 발생해(몇 년 몇월 몇일 몇시 몇분)해 언제 끝나는지를 계산했고, 그의 계산과 같은 시각 월식이 발생하는 것을 보고 다른 학자들도 믿게 됐다고 합니다.
과학천재인 이순지를 알아 본 세종이 이순지를 과학책임자로 임명했을 때, 이순지는 약관 29세의 나이였답니다.
당시만 해도 조선에는 달력이 없어서 동지상사라 하여 동짓달 중국에 온갖 진귀한 선물들을 바리바리 챙겨가서 달력을 얻어왔습니다.
세종은 중국의 달력이 우리나라와 맞지 않는다고 여겨 수학자와 과학자들을 모두 모으고, 이순지에게 우리나라에 맞는 달력을 만들 것을 명했습니다.
그러자 이순지는 '서운관(국립기상천문대)은 진급이 늦고, 녹봉이 낮아 인재가 모이지 않으니 힘들다'고 말하며 불가능하다고 주장했고, 세종은 이순지의 뜻을 쫓아 가장 진급과 녹봉을 높게 하지만 또 '불가하다'는 이순지의 말을 들어야 했습니다.
서운관의 장이 서품이 낮아 타 부서에서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것이 이유였고, 결국 세종은 이순지의 말을 쫓아 영의정 정인지로 서운관의 장을 삼았습니다.
그래서 결국 1444년에 우리나라에 맞는 정교한 달력을 만들었답니다.
얼마나 정교했냐하면 이순지가 쓴 ‘칠정산외편’에 보면 이순지는 지구가 태양을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365일 5시간 48분 45초라고 계산해 놓았습니다. 오늘날 물리학적인 계산은 365일 5시간 48분 46초입니다. 1초 차이가 나게 1400년대에 계산을 해냈습니다.
(서울대 중문학과 허성도교수님 강연 중에서)
윗글은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2342227875904195&id=100003510164766에서 복사해 왔습니다.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 성공회 서울 주교좌 성당 2023-03-12 (14) | 2023.03.12 |
---|---|
故 이정효 교수님 어록 모음 2019-11-2 (0) | 2023.03.10 |
남들도 우리처럼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살아가는 이야기2019-11-13 (0) | 2023.03.10 |
이어령 선생님이 말하는 인간의 평등 (0) | 2023.03.09 |
이어령 선생님의 조선일보와의 마지막 인터뷰 2019-10-23 (1)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