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노래하는 사람

옛그림 불교에 빠지다 조정육 아트북스 2014 320 11/28~11/29 2014-11-29 16:50:13 본문

독서

옛그림 불교에 빠지다 조정육 아트북스 2014 320 11/28~11/29 2014-11-29 16:50:13

singingman 2022. 12. 1. 20:04
728x90

불교신자인 저자가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8시기로 구분한 팔상도 그림에 맞추어 그의 생애와 함께

우리 다른 그림들과 함께 설명한 책.

석가모니는 전생에 도솔천에서 호명보살로 있었다고 한다.

그 석가모니가 지상에 내려온 도솔래의상부터 열반에 든 쌍림열반상까지 8장면의 그림과 그와 관계있거나 비슷한

우리 옛날 그림들을 설명하고 있다.

석가모니의 8상도는

1. 도솔래의상

2. 비람강생상

3. 사문유관상

4. 유성출가상

5. 설산수도상

6. 수하항마상

7. 녹원전법상

8. 쌍림열반상으로 나눠진다. 

 

아래 그림은 석가모니가 전생에 전담마제라는 태자였을 때 배고픈 호랑이 가족을 위하여 자기 몸을 호랑이에게 먹이로

공양하는 모습을 3단계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자기희생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사신사호도 타마무시노즈시의 수미좌 그림중 오른쪽 면 나무에 칠 7세기 전반 아스카 시대 일본 나라 호류지 소장

 

김정희 불이선란 종이에 먹 55*31.1CM 1853~55추정 개인소장

 

이인상 [송하수업도] 28.7*27.5CM 종이에 엷은 색, 개인소장
정선 [금강전도] 1734년종이에 엷은 색ㅣ삼성미술관 리움

 

윤두서 진단타려도 비단에 색 11*68.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 빨래터(단원풍속도첩 중에서) 종이에 연한 색 27*22.7CM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작자미상, ‘석가고행상’, 인도 라호르박물관.

 

아래는 많은 자녀를 두는 것이 복이라고 생각하는 백자도 6첩 병풍 작자미상 비단에 색 74.8*46.3CM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최북, <석림모옥>, 종이에 연한 색, 79×119cm. 간송미술관

 

초당한거도(草堂閑居圖)>, 첨재화보(添齋畵譜)중 1748년 36살 지본담채 18.7x22.2cm 개인소장​

 

신명연, <연꽃>, 19세기, 비단에 색 33.3*20cM 국립 중앙박물관 소장

 

겸재 정선, 초당춘수( 草堂春睡 ), 견본담채, 23.5 x 29.5 cm  베네딕도회 경북 왜관 수도원 소장

 

김홍도 서당 & 기와이기(단원풍속도첩 중) 종이에 연한 색 27*22.7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 19세기, 병풍, 비단에 색, 149.3×325.8cm, 국립고궁박물관

 

최북, <산향재도>, 18세기, 종이에 연한 색, 29×53.5cm, 국립중앙박물관

 

신윤복의 주유청강(舟遊淸江) - 맑은강에서 뱃놀이하다 [혜원전신첩] 종이에 옅은색 28.2 x 35.6 cm 간송미술관 소장, 국보 135호

 

양해, 이백행음도 종이에 수묵, 80.8*30.4CM 일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심사정, 산승보납도 36*27.2CM 비단에 색 부산박물관 소장

 

강희언 인왕산도 종이에 연한 색 24.6*42.6CM 개인소장

 

又峯 趙熙龍 紅白梅八曲屛 [설봉 조희룡 홍백매8곡병] 종이에 채색, 124.8 x 46.4 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강은 산수인물도 고씨화보

 

이인문 격단조주 고송유수첩중 제20폭 종이에 연한 색 38.1*59.1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선의 인왕제색도仁旺霽色圖, 1751, 비단에 담채, 79.2×138.2㎝, 호암미술관

 

양해, 석가출산도 비단에 색, 117.6*51.9 중국 송 13세기 일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하마선인도(蝦蟆仙人圖)>, 안중식, 종이에 수묵담채, 126.2×33.2cm, 1898년, 서울대학교박물관

 

전기 매화서옥도 종이에 연한 색 32.4*36.1CM 19세기 중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세창제시미원계회도 비단에 수묵  93*61CM 1540  개인소장

 

김명국. 수로예구도. 지본수묵, 100.5 x 52.7cm, 간송미술관 소장.

 

지옥초지 부분

 

정선 1676~1759 파교설후도 18세기,종이에 수묵 53x36cm 국립중앙박물관

 

지옥초지 종이에 색 두루마리 26*242CM 12세기 이본 도쿄 국립박물관 소장

 

김홍도 활쏘기(단원풍속도첩 중에서) 종이에 연한 색 27*22.7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조 들국화 종이에 먹  84.6*51.5CM 동국대 박물관 소장

 

정조 파초 종이에 먹 84.6*51.5CM 동국대 박물관 소장

 

이경윤의 '낚시꾼' - 강태공은 70년을 기다려서 주나라를 건국한 서백을 만난다. 비단에 먹 31.1*24.8CM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임량, <추응도>, 명, 비단에 연한 색 , 136.8×74.8cm. 대북고궁박물원

 

이 그림은 석가모니가 전생에 전담마제라는 태자였을 때 배고픈 호랑이 가족을 위하여 자기 몸을 호랑이에게 먹이로 공양하는 모습을 3단계로 나누어 그린 그림이다. 자기희생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사신사호도 타마무시노즈시의 수미좌 그림중 오른쪽 면 나무에 칠 7세기 전반 아스카 시대 일본 나라 호류지 소장

 

이인문의 '단발령망금강'이다. 종이에 연한 색 23*45CM 개인 소장
전 유숙 , < 호취간작 >, 비단에 연한 색 , 87.4×20.7cm, 국립중앙박물관
심사종, 호취박토도 - 매가 토끼를 사냥하는 모습을 그리다. 종이에 연한 색 115.1*53.6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강세황, <복천오부인초상>, 1761년 , 비단에 색, 78.3×60.1cm, 개인소장

 

 

 

 

그림은 정선의 단발령에서 금강산을 바라보는 그림인 '단발령망금강'이다. 단발령 망금강 (신묘년 풍악도첩 중에서) 비단에 연한 색 36*37.4CM  1711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작자미상,<동가반차도>(부분), 19세기 후반, 비단에 색, 31.0×996.0cm, 삼성리움미술관

 

괴석 모란도 8곡병(부분) 비단에 색 231*54.5CM 19세기 서울 역사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