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평화누리길 7코스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강화나들길 3코스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평화누리길 3코스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오블완
- 군위 팔공산
- 김포 문수산
- 단양 구담봉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북한산 만포면옥
- 성인대
- 해파랑길 20코스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티스토리챌린지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해파랑길 48코스
- 평화누리길 4코스
- 앙코르와트
- 김포 한재당
- 명동 성당 미사
- 해파랑길 8코스
- 미시령 성인대
Archives
- Today
- Total
노래하는 사람
조선의 출셋길, 장원 급제 정구선 팬덤 북스 2010년 267쪽 7/29 본문
728x90
고려와 조선의 과거와 관련된 기록들.
조선시대에 사대부가 출세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과거시험은 경쟁률이 높고 치열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장원 급제는 본인만이 아니라 가문의 영광이었다.
예나 지금이나 금수저 집안이 장원 급제에도 유리했다.
10대에 급제하는 천재들이 있는가하면 평생 과거에 메달리다가 70대에 급제하는 사람도 있었다.
향시라고 불리는 지방에서 실시하는 소과인 진사시나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들은 성균관에 입학해서 300일 이상의 수업을 들어야 문과라고 하는 대과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나중에 이 규정은 좀 느슨해지간 했지만. 한달에 이틀만 쉬는 성균관 생활은 빡센 수업과 시험 때문에 긴장과 피로의 연속이었다.
문과는 초시 중시 전시가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만 보기도 했다.
식년시는 매3년마다 있었고 별시도 종종 있었다.
문과 무과 잡과가 있었다.
초시에서는 지방과 성균관 유생을 합해서 240명을 뽑았고 문과에서는 33명을 뽑았다.
갑과 3명 을과 7명 병과 23명을 뽑았다.
시험과목은 경사를 주로하고 제술시험은 그 해에 국정이나 왕의 관심사와 관련있는 논술시험이 나왔다.
양민과 양반의 자제들은 누구나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지만 재혼녀의 자손과 서얼은 응시할 수 없어서 음직으로 출사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부정이 엄청 심했다.
컨닝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이런 현상은 심해져서 나중에는 고관대작의 아들만 장원이 될 수 있었다.
율곡처럼 9도장원공도 있고 부자가 다 장원을 집안도 있고 형제가 다 장원을 한 집안도 있다.
하위지 성삼문 정인지등은 다 장원 출신이다.
장원을 하면 일반적으로 높은 자리에 올라가기가 쉽긴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조선시대에 사대부가 출세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과거시험은 경쟁률이 높고 치열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장원 급제는 본인만이 아니라 가문의 영광이었다.
예나 지금이나 금수저 집안이 장원 급제에도 유리했다.
10대에 급제하는 천재들이 있는가하면 평생 과거에 메달리다가 70대에 급제하는 사람도 있었다.
향시라고 불리는 지방에서 실시하는 소과인 진사시나 생원시에 합격한 사람들은 성균관에 입학해서 300일 이상의 수업을 들어야 문과라고 하는 대과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다. 나중에 이 규정은 좀 느슨해지간 했지만. 한달에 이틀만 쉬는 성균관 생활은 빡센 수업과 시험 때문에 긴장과 피로의 연속이었다.
문과는 초시 중시 전시가 있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만 보기도 했다.
식년시는 매3년마다 있었고 별시도 종종 있었다.
문과 무과 잡과가 있었다.
초시에서는 지방과 성균관 유생을 합해서 240명을 뽑았고 문과에서는 33명을 뽑았다.
갑과 3명 을과 7명 병과 23명을 뽑았다.
시험과목은 경사를 주로하고 제술시험은 그 해에 국정이나 왕의 관심사와 관련있는 논술시험이 나왔다.
양민과 양반의 자제들은 누구나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지만 재혼녀의 자손과 서얼은 응시할 수 없어서 음직으로 출사하기도 했다.
과거에는 부정이 엄청 심했다.
컨닝 방법도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이런 현상은 심해져서 나중에는 고관대작의 아들만 장원이 될 수 있었다.
율곡처럼 9도장원공도 있고 부자가 다 장원을 집안도 있고 형제가 다 장원을 한 집안도 있다.
하위지 성삼문 정인지등은 다 장원 출신이다.
장원을 하면 일반적으로 높은 자리에 올라가기가 쉽긴 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얼굴의 조선사 조윤민 저 글항아리 2016년 347/365쪽 ~8/12 (0) | 2023.06.02 |
---|---|
고려에서 조선으로 정요근 외 역사비평사 2019년 457쪽/480 ~8/5 (0) | 2023.06.02 |
월든:숲속의 생활 (Walden;or, Life in the Woods) 2022-07-27 (2) | 2023.06.01 |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한명기 푸른 역사 2009년 544/583쪽 ~7/26 (0) | 2023.06.01 |
이산 정조대왕 이상각 추수밭 2007년 359쪽 ~7/18 (0) |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