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노래하는 사람

베르베르 문명 임기대 한길사 2021년 350쪽 ~6/11 본문

독서

베르베르 문명 임기대 한길사 2021년 350쪽 ~6/11

singingman 2023. 6. 10. 07:24
728x90

마그레브로도 불리는 북 아프리카 자 지중해와 인접한 지역의 지명과 사람들을 지칭한다.
누미디아 왕국이 이들의 선조이기도 하다.
페니카아와 로마가 이들을 지배했으며 북부 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여러 곳에 흩어져 살고 있다.
사하라 사막 바로 아래 사헬 지역에도 흩어져 있다.
북부 아프리카는 아랍의 영향이 커서 사헬 지대가 아랍 문명과 아프리카 문명의 경계선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사헬 지대에는 아프리카 문명과 아랍 문명이 뒤섞여 있다.
이 지역은 사바나 지대로 사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세계 최빈국들이 모여 있다.
투아레그어가 이 지역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베르베르언어는 여성 명사에는 남성 명사의 앞뒤로 t를 붙여 사용한다.
지중해와 맞닿은 북아프리카에는 아틀란타 산맥이 있다.

로마 시대에는 강력한 로마에 복속되기도 했고 기독교를 받아들이기도 했다.
지금은 이슬람 세력이 큰 것 같다.

스페인, 오스만 터키, 프랑스가 차례로 이 지역을 지배했다.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등으로 이주한 마그레브인들이 베르베르인들을 지원하고 있다.
아랍이나 프랑스의 영향을 벗어나 베르베르인들의 권리를 찾으려고 민주화 운동을 벌이고 있지만 독재 정부와 군부의 부패가 쉽사리 허용하지 않고 있다.

히락은 베르베르인들의 저항 운동을 나태내는 말이다.
프랑스로 간 마그레브인이 약 600만명이고 그중 3분의 1이 베르베르인이다.

베르베르는 옌나예르라는 축제를 가지고 있고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적 공휴일로 지키기도 한다.

이곳 출신 가수들이 유럽에서도 활동했다.
이디르 (1849~2020),하싼 이드바시이드, 루네스 마투브(1956~98)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