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평화누리길 7코스
- #강화나들길 3코스
- 해파랑길 48코스
- 군위 팔공산
- 해파랑길 8코스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앙코르와트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해파랑길 20코스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단양 구담봉
- 김포 문수산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성인대
- 티스토리챌린지
- 명동 성당 미사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평화누리길 4코스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평화누리길 3코스
- 북한산 만포면옥
- 미시령 성인대
- 오블완
- 김포 한재당
- Today
- Total
목록참고자료 (207)
노래하는 사람
하 영 진 A statement released by the White House read. 오늘 백악관에서 나온 부활절을 앞두고 발표한 메시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Today, we send a message to all transgender Americans: You are loved. You are heard. You are understood. You belong. You are America, and my entire Administration and I have your back," it continued. "NOW, THEREFORE, I, JOSEPH R. BIDEN JR.,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virtue of the auth..

오자서의 부친 오사는 초나라 태자 건의 스승(태부)이었다. 비무기는 소부였는데, 태자에게 충심을 다하지 아니하였다. 초나라 군주 평왕은 비무기에게 진(秦)나라로 가서 진나라 군주 애공의 여동생을 데리고 와 태자의 아내를 삼도록 하였다. 비무기는 애공의 여동생이 미인임을 알고 평왕에게 그녀를 취하고 태자에게는 다른 규수를 맺어달라고 아첨하였다. 평왕은 그의 말에 동의하여 애공의 여동생을 후궁으로 삼고 총애하였다. 애공의 여동생이자 진나라 공주는 왕자 진을 낳았다. 비무기는 평왕이 승하하고 태자가 즉위하면 자신의 목숨이 위험해질까 두려워 평왕에게 태자를 헐뜯는 발언을 자주 일삼았다. 평왕은 태자를 차츰 멀리하였고, 나중에는 태자를 변방 성보읍으로 보내 방위하도록 명하였다. 비무기는 평왕에게 태자가 진나라 공..

유두류록은 남명 조식선생이 1558년 음력 4월 10일부터 25일까지 사천-하동-섬진강-쌍계사-불일사-신응사 등 화개동천의 여러 곳을 유람하며 남긴 기록입니다. 유두류록(遊頭流錄) / 남명 조식 1558년 음력 4월 첫여름, 나는 진주목사 김홍(金泓), 수재(秀才) 인숙(寅淑) 이공량(李公亮), 고령 현감을 역임한 우옹(愚翁) 이희안(李希顔), 청주목사를 역임한 강이(剛而) 이정(李楨) 등과 함께 두류산을 유람하였다. 산에서는 벼슬을 높이 보지 않아 술잔을 돌리거나 앉을 자리를 정할 때 나이를 기준으로 하는데 꼭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4월 10일 고령현감 우옹(愚翁) 이희안(李希顔)이 초계(草溪)로부터 뇌룡사(雷龍舍)를 찾아와 함께 묵었다. *[뇌룡사(雷龍舍)는 김해에서 삼가로 돌아온 남명(南冥)이 ..
https://www.facebook.com/share/v/2ZSppqTJ67Aa5ppR/?mibextid=jmPrMh
구세군·성공회·루터교가 지켜온 예복에 담긴 의미는 주일 예배 강대상에서 설교하는 목회자를 떠올려보자. 어두운 양복 재킷을 입고 넥타이를 맨 모습이 쉽게 연상된다. 개신교 전통은 만인사제설을 따르기에 일반 성도와 구별된 성직자 복장을 강조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신교 일부 교파는 전통을 따르는 예복을 입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곳이 구세군 루터교 성공회다. 잘 몰랐던 이들 교단 목회자의 예복 세계를 들여다보자. 구세군 군복에 담긴 섬김의 의미 구세군 사관들이 정복을 입고 ‘할렐루야’라고 외치는 손동작 인사를 하고 있다. 구세군은 정복 어깨에 달린 견장으로 직급을 구분한다. 다양한 견장의 모습(위부터). 구세군 제공, 신석현 포토그래퍼 구세군 사관들이 정복을 입고 ‘할렐루야’라고 외치는 손동작 인사를..

사마천의 사기 열전을 다시 읽습니다. 여불위의 삶이 주는 교훈이 있습니다. 여불위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며 장사를 해서 상인으로 크게 성공했습니다. 그의 아버지도 훌륭한 상인이었습니다. 아버지께 질문하며 나눈 대화 가운데 아래와 같은 것이 있습니다. "농사를 지으면 몇 배를 남길 수 있습니까?" "10배를 남길 수 있다." "보석상을 하면 몇 배를 남길 수 있습니까?" "100배는 남길 수 있다." "그럼 한 나라의 왕을 만들면 몇 배를 남길 수 있습니까?" "그건 차마 계산이 안 되는구나." "제가 그 일을 하려고 합니다. 저는 천하를 수확할 씨를 뿌리겠습니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여불위가 조나라에 갔을 때 자초를 만났습니다. 자초는 진나라 왕자로 조나라에 볼모로 와 있었고 곤궁한 상태에 처해 있..
한국에서 종교를 선택하는 이들은 특정 종교에 몰리지 않고 여러 종교로 분산되는 경향을 보인다. 사회적 신뢰도가 가장 높은 종교가 새 입교자를 독점할 것 같은데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최근 상황이 달라지긴 했지만 천주교는 10년 전만 해도 사회적 신뢰도(한국 사회에 가장 믿을 만한 종교)에서 한국 종교들 가운데 늘 1위를 기록하였다. 그것도 늘 2등과 큰 격차를 보였다. 이때는 천주교가 독점은 아니어도 다른 경쟁 종교들에 비해 많은 신자를 얻었다. 최근 이뤄진 조사를 보면 천주교는 사회적 신뢰도에서 몇 년째 불교에 밀려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근소한 차이긴 하지만 10년 전에 비하면 격세지감이다. 그러나 입교자 수에서는 천주교가 여전히 불교를 앞서고 있다. 개신교는 3대 종교 가운데 신뢰도가 늘..
1.즉자적,습관적 행동이다. 2.하는 사람은 절대 잔소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3.잔소리를 하는 사람은 일종의 확신범이다. 본인 생각과 기준이 항상 옳으니까 잔소리가 성립이 된다. 4.잔소리는 가까운 사이에서 주로 발생한다. 5.듣는 사람은 괴롭다. 6.계속되면 상대방은 움츠려 든다. 7.잔소리는 상대방을 믿지 않는대서 나온다. 8.걱정되서 하는 소리라는 핑계를 항상 단다. 9.실은 본인 맘 편하고자 하는 것이다. 10.상대방은 계속 뭔가를 설명해야 한다. 말 안하면 본인 마음대로 해석해서 또 잔소리 한다. 11.듣는 사람에겐 하나도 효과 없다. 오히려 역효과다. 효과 있으면 나도 날마다 하겠다. 12.설득과 구분을 잘 못한다. 13.그걸 사랑이라고 믿는다. 우리가 또는 내가 흔히 겪는 잔소리의 고난?과..

구약 성경에는 야곱이라는 인물이 나옵니다. 그는 아브라함의 손자이고 이삭의 아들입니다. 구약 성경뿐만 아니라 신약 성경에서도 그의 이름은 아주 많이 언급됩니다. 그에게는 두 명의 부인이 있었습니다. 야곱이 형의 눈을 피해 외삼촌 라반의 집에서 양을 치면서 살다가 외사촌 라헬에게 반했습니다. 외삼촌에게는 레아와 라헬이라는 자매가 있었습니다. 레아는 그리 예쁘지 않았던 것 같고 라헬은 예뻤던 것 같습니다. 야곱은 라헬을 아내로 얻기 위해서 외삼촌 집에서 7년간 일합니다. 성경에는 '레아는 안력이 부족하고 라헬은 곱고 아리따우니 (창29:17, 개역한글)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의 영어성경 niv의 의하면 Leah had weak eyes, but Rachel had a lovely figure an..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아브람(후에 아브라함이 됩니다.)과 롯에게서 탐욕의 결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창세기 13장 6~11절을 보면 "그 땅이 그들이 동거하기에 넉넉하지 못하였으니 이는 그들의 소유가 많아서 동거할 수 없었음이니라. 네 앞에 온 땅이 있지 아니하냐 나를 떠나가라 네가 좌하면 나는 우하고 네가 우하면 나는 좌하리라 이에 롯이 눈을 들어 요단 지역을 바라본즉 소알까지 온 땅에 물이 넉넉하니 여호와께서 소돔과 고모라를 멸하시기 전이었으므로 여호와의 동산 같고 애굽 땅과 같았더라. 그러므로 롯이 요단 온 지역을 택하고 동으로 옮기니 그들이 서로 떠난지라." 위의 글에서 아브람과 롯이 땅을 나누는 과정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아브람은 조카 롯을 잘 보살피고 도와주었으며 많은 은혜를 베풀었습니다. 창세기..

한겨레21 구독통합검색SNS 공유하기 베트남 사랑한 틱낫한 스님 “도착했습니다, 집에 왔습니다” [인물로 보는 동남아시아]전쟁 참상 속에 참여불교 실천하고, 귀국하지 못한 아픔 넘어 생활명상 가르치다 2022년 향년 95로 입적한 틱낫한은 생전에 ‘살아 있는 부처’로 불리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불교 승려로 꼽혔다. 그는 일상에서의 마음챙김과 내면의 평화·자비·비폭력을 강조했고, 현실 속에서 비폭력 평화 세상을 이루기 위해 불교도 삶에 참여해야 한다는 ‘참여불교’를 이끌었다. 그가 쓴 명상법과 마음챙김에 관한 책들은 30개 이상 언어로 번역돼 전세계에서 대중적 인기를 끌었다. 베트남 시골 마을 출신의 틱낫한은 어떻게 세계인들에게 이토록 큰 영적 스승이 될 수 있었을까. 참여불교로 불교 혁신을 꿈꿨으..
https://m.blog.naver.com/edition-kr/222865123061 작곡가 조혜영 Cho, Hye-Young한국을 대표하는 합창 작곡가 조혜영의 음악을 이야기할 때 항상 떠오르는 두 단어는 '공감' 그...blog.naver.com 조혜영 작품 세계 (연주 안양시립합창단) https://m.cafe.daum.net/chorusnculture/JDqs/131?q=%EC%9E%91%EA%B3%A1%EA%B0%80+%EC%A1%B0%ED%98%9C%EC%98%81& (연주실황) 제124회 정기연주회(연주실황) 제124회 정기연주회 All that 조혜영 작곡가 조혜영 인터뷰(64) 제124회 정기연주회 작곡가 조혜영 인터뷰 - YouTube 안양시립합창단 제124회 정기연주회 작곡가 '조혜..

불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수행을 한다. 수행의 방법으로는 참선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불교 경전을 읽고 이해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결국은 깨달음은 내스스로가 노력해서 얻는 것이기 때문에 경전에도 얽매이지 않아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래서 심지어는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라는 표현도 사용한다. 그러니까 도반이나 경전의 도움 혹은 부처의 가피도 받지만 결국은 내 스스로가 열심히 고군분투해서 깨달음에 이르라는 말로 이해된다. 결국 자기 스스로의 노력에 의한 주관적인 깨달음이 궁극적인 목표가 된다. 공자의 가르침을 참고해 보면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이라고 했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지 않으면 얻는 것이 없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는 말..

음악의 아버지로 불리는 J.S.바흐와 함께 G.F.Handel은 1685년 같은 해에 독일의 할레라는 작은 마을에서 이발사겸 궁정외과 의사인 아버지 게오르그 헨델에게서 태어났습니다. 바흐는 평생을 독일 안에서만 활동하였지만 헨델은 젊은 시절에 이탈리아 유학을 하고 독일로 돌아와서 활동하다가 또 영국으로 건너가 활동하며 살다가 귀화해서 영국인이 된 요즘 식으로 말하면 글로벌 셀럽입니다. 아버지는 헨델이 음악가가 되는 것을 반대해서 법률가가 되기 위해 법대에 진학했지만 결국 자신의 적성에 따라 할레 대성당의 오르간 주자로 들어가며 음악가의 인생을 시작합니다. 그러다 1703년 18살때 뤼벡으로 가서 당시 오르가니스트의 거장 디트리히 북스테후데를 만나 그에게 음악을 배웠습니다. 헨델의 능력을 알아 본 북스테후..

가을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주여 시간이 되었습니다... 여름은 참으로 위대했습니다. 해시계위에 당신의 그림자를 얹으시고 들판엔 바람을 풀어 주옵소서 마지막 열매를 알차게 하시고 이틀만 더 남녘의 빛을 주소서 무르익도록 재촉하시고 마지막 단맛이 무거워져가는 포도에 스며들게 하소서 지금 집이 없는자는 집을 짓지 못합니다. 지금 홀로인 사람은 오래도록 그렇게 살 것입니다. 잠자지 않고 읽고 긴 편지를 쓸 것입니다. 바람에 나뭇잎이 구를때면 불안스레이 이리저리 가로수 사이를 헤맬 것입니다. https://youtu.be/D4ZEKPNsogA?si=fw9-D1rXx7Og_joL 또 다른 번역과 원문 Herbsttag (헤릅스탁) - 가을날 - 라이너 마리아 릴케 Herr, es ist Zeit. Der Somme..

오늘 예배 시간에 목사님의 설교를 듣다가 죽음에 관해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 말에는 죽음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말이 있다. 돌아가다 소천하다 타계하다 세상을 뜨다 숨을 거두다 이외에도 여러 표현이 있지만 위의 말들을 살펴보면 죽음이란 현상을 현재 세상에서 다른 세상으로 옮겨 가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많은 종교적 표현에는 당연히 다른 세상 즉, 내세로 가는 표현이 있지만 일반적인 표현에도 위와 같은 표현들이 많이 있는 것을 보면 사람들의 잠재의식 속에 내세에 대한 관념이 있는 것 같다. '돌아가다'라는 표현은 어딘가에서 온 곳이 있어서 그곳으로 다시 간다는 표현이다. 우리가 어디에서 왔을까? 인간의 기원에 관해 언급하지 않는 종교도 있지만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다면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했으니 그 하나님께..

아래의 글은 독서모임 (좋은 책 나누기)에서 복사해 온 글입니다. 에는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를 다루고 있다. 르네상스의 시작은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점차 퍼지게 되었는데, 한 가지 분야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거의 모든 분야'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서로 영향력을 주고 받으며 다함께 성장발전한 것이 큰 특징 중 한가지다. 그런데 이러한 '여러 학문, 예술, 문화 등등' 다방면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한 '르네상스의 특징'을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인본주의'라고 말할 수 있겠다. 유럽의 중세 1000년 동안 '신학 중심'으로 발전을 해오면서 그동안 소외되었던 '인간, 본연의 아름다움'을 다시금 눈 뜨게 한 것이 르네상스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서양의 그리스도교가 무너지고 고대의 그리스로마신화 ..
내가 최초로 맛본 비애의 기억은 앞뒤에 아무런 사건도 없이 외따로인 채 다만 풍경만 있다. 엄마 등에 업혀 있었다. 막내라 커서도 어른들에게 잘 업혔으니 다섯 살 때쯤이 아니었을까. 저녁 노을이 유난히 새빨갰다. 하늘이 낭자하게 피를 흘리고 있는 것 같았다. 마을의 풍경도 어둡지도 밝지도 않고 그냥 딴 동네 같았다. 정답던 사람도 모닥불을 통해서 보면 낯설듯이. 나는 참을 수가 없어서 울음을 터뜨렸다. 엄마는 내 갑작스러운 울음을 이해하지 못했다. 나 또한 설명할 수가 없었다. 그건 순수한 비애였다. 그와 유사한 체험은 그 후에도 또 있었다. 바람이 유난히 을씨년스럽게 느껴지는 저녁나절 동무들과 헤어져 홀로 집으로 돌아올 때, 홍시 빛깔의 잔광이 남아 있는 능선을 배경으로 텃밭머리에서 너울대는 수수이삭을..
성악이나 기악에서 적절한 비브라토는 풍부한 음량과 아름다움을 주어서 듣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하지만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이 지나치면 아름다움은 고사하고 소음처럼 되어버립니다. 기악에서는 독주나 합주에서 비브라토가 음악에 방해가 되는 경우를 본 기억이 별로 없습니다. 오히려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 비브라토가 전혀 없으면 너무 심심하지요. 주로 전문가들의 연주를 들었기 때문일까요? 얼마전 영산 아트홀에서 바로크 싱어즈가 연주한 C.Monteverdi의 '윤리적이고 종교적인 숲'을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몬테베르디는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 가운데 한 사람이지요. 이 곡의 연주에는 합창단과 함께 쳄발로, 오르간, 바이올린, 바올라 다 감바, 콘트라베이스가 반주를 했습니다. 르네상스 음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