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명동 성당 미사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티스토리챌린지
- #강화나들길 3코스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군위 팔공산
- 오블완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해파랑길 20코스
- 성인대
- 평화누리길 4코스
- 앙코르와트
- 평화누리길 3코스
- 김포 한재당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단양 구담봉
- 평화누리길 7코스
- 미시령 성인대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해파랑길 48코스
- 김포 문수산
- 해파랑길 8코스
- 북한산 만포면옥
- Today
- Total
노래하는 사람
조선왕릉 탐방 2021-07-29 본문
조선왕릉은 남한 18곳과 북한 두 곳 합해서 20개 지역에 40기의 능이 있습니다.
왕릉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입니다.
여기에 연산군과 광해군의 2기의 묘가 더 있습니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왕의 신분으로 죽지 않았기 때문에 능이 아닌 묘에 묻혔고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에 들지도 못했습니다.
왕릉은 조선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규정에 따라 한양 도성으로부터 10리에서 100리 사이에 마련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여주 영녕릉이나 영월 장릉처럼 예외도 있습니다.
대 | 능명 | 능주 | 조성연대 | 형태 |
1 | 건원릉(健元陵) | 제1대 태조고황제 | 1408년 | 단릉 |
제릉(齊陵) | 제1대 태조 원비 신의고황후 | 1391년 1392년(봉릉) | 단릉 | |
정릉(貞陵) | 제1대 태조 계비 신덕고황후 | 1409년(이장) | 단릉 | |
2 | 후릉(厚陵) | 제2대 정종과 정안왕후 | 왕:1420년 비:1412년 | 쌍릉 |
3 | 헌릉(獻陵) |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 | 왕:1422년 비:1420년 | 쌍릉 |
4 | 영릉(英陵) | 제4대 세종과 소헌왕후 | 1469년(이장) | 합장릉 |
5 | 현릉(顯陵) | 제5대 문종과 현덕왕후 | 왕:1452년 비:1513년(이장) | 동원이강릉 |
6 | 장릉(莊陵) | 제6대 단종 | 1698년(봉릉) | 단릉 |
사릉(思陵) | 제6대 단종비 정순왕후 | 1531년 1698년(봉릉) | 단릉 | |
7 | 광릉(光陵) | 제7대 세조와 정희왕후 | 왕:1468년 비:1483년 | 동원이강릉 |
추존 | 경릉(敬陵) |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 왕:1457년 비:1504년 | 동원이강릉 |
8 | 창릉(昌陵) | 제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 | 왕:1470년 비:1499년 | 동원이강릉 |
공릉(恭陵) | 제8대 예종원비 장순왕후 | 1461년 1471년(봉릉) | 단릉 | |
9 | 선릉(宣陵) | 제9대 성종과 계비 정현왕후 | 왕:1495년 비:1530년 | 동원이강릉 |
순릉(順陵) | 제9대 성종원비 공혜왕후 | 1474년 | 단릉 | |
10 | 연산군묘 | 제10대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 왕:1512년(이장) 비:1537년 | 쌍분 |
11 | 정릉(靖陵) | 제11대 중종 | 1562년(이장) | 단릉 |
온릉(溫陵) | 제11대 중종원비 단경왕후 | 1557년 1739년(봉릉) | 단릉 | |
희릉(禧陵) | 제11대 중종1계비 장경왕후 | 1537년(이장) | 단릉 | |
태릉(泰陵) | 제11대 중종2계비 문정왕후 | 1565년 | 단릉 | |
12 | 효릉(孝陵) | 제12대 인종과 인성왕후 | 왕:1545년 비:1578년 | 쌍릉 |
13 | 강릉(康陵) | 제13대 명종과 인순왕후 | 왕:1567년 비:1575년 | 쌍릉 |
14 | 목릉(穆陵) | 제14대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 | 왕:1630년(이장) 원비:1600년 계비:1632년 | 동원이강릉 |
15 | 광해군묘 | 제15대 광해군과 문성군부인 | 왕:1641년 비:1623년 | 쌍분 |
추존 | 장릉(章陵) |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 왕:1627(이장) 비:1626 1632년(봉릉) | 쌍릉 |
16 | 장릉(長陵) | 제16대 인조와 원비 인렬왕후 | 1731년(이장) | 합장릉 |
휘릉(徽陵) | 제16대 인조계비 장렬왕후 | 1688년 | 단릉 | |
17 | 영릉(寧陵) | 제17대 효종과 인선왕후 | 왕:1673년(이장) 비:1674년 | 동원상하릉 |
18 | 숭릉(崇陵) | 제18대 현종과 명성왕후 | 왕:1674년 비:1684년 | 쌍릉 |
19 | 명릉(明陵) | 제19대 숙종과 1계비 인현왕후, 2계비 인원왕후 | 왕:1720년 1계비:1701년 2계비:1757년 | 동원이강릉 |
익릉(翼陵) | 제19대 숙종원비 인경왕후 | 1680년 | 단릉 | |
20 | 의릉(懿陵) | 제20대 경종과 계비 선의왕후 | 왕:1724년 비:1730년 | 동원상하릉 |
혜릉(惠陵) | 제20대 경종원비 단의왕후 | 1718년 1720년(봉릉) | 단릉 | |
21 | 원릉(元陵) | 제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 | 왕:1776년 비:1805년 | 쌍릉 |
홍릉(弘陵) | 제21대 영조원비 정성왕후 | 1757년 | 단릉 | |
추존 | 영릉(永陵) |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순소황후 | 왕:1728년 비:1751년 1776년(봉릉) | 쌍릉 |
추존 | 융릉(隆陵) | 추존 장조의황제와 헌경의황후 | 왕:1789년(이장) 비:1815년 1899년(봉릉) | 합장릉 |
22 | 건릉(健陵) | 제22대 정조선황제와 효의선황후 | 왕:1821년(이장) 비:1821년 | 합장릉 |
23 | 인릉(仁陵) | 제23대 순조숙황제와 순원숙황후 | 왕:1856년(이장) 비:1857년 | 합장릉 |
추존 | 수릉(綏陵) | 추존 문조익황제와 신정익황후 | 왕:1855년(이장) 비:1890년 | 합장릉 |
24 | 경릉(景陵) | 제24대 헌종성황제와 원비 효현성황후와 계비 효정성황후 | 왕:1849년 원비:1843년 계비:1904년 | 삼연릉 |
25 | 예릉(睿陵) | 제25대 철종장황제와 철인장황후 | 왕:1864년 비:1878년 | 쌍릉 |
26 | 홍릉(洪陵) | 대한제국 1대 고종태황제와 명성태황후 | 제:1919년 후:1919년(이장) | 합장릉 |
27 | 유릉(裕陵) | 대한제국 2대 순종효황제와 원후 순명효황후와 계후 순정효황후 | 제:1926년 원후:1926년(이장) 계후:1966년 | 합장릉 |
무덤은 묻힌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서 3가지로 분류됩니다.
무덤의 종류구분
능(陵) :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된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무덤
원(園) : 왕의 사친(왕을 낳은 후궁이나 왕족), 왕세자와 왕세자빈, 왕세손, 황태자와 황태자비의 무덤
묘(墓) : 나머지 왕족(대군, 군, 공주, 옹주, 후궁)과 폐왕의 무덤
조선왕릉의 형식
조선왕릉은 기본적으로 유교예법에 근거한 상설제도에 따라 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봉분의 조성형태에 따라 형태적 차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형식은 크게 단릉, 쌍릉, 합장릉, 동원이강릉, 동원상하릉, 삼연릉의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릉(單陵)
단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단독으로 조성한 능이다. 대표적으로 태조 건원릉, 단종 장릉, 중종 정릉 등 15기의 능이 있습니다.
쌍릉(雙陵)
쌍릉은 왕과 왕비의 봉분을 하나의 곡장 안에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우상좌하(右上左下, 오른쪽에 왕, 왼쪽에 왕비)의 원칙에 따라 조성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명종 강릉, 영조 원릉, 철종 예릉 등 9기의 능이 있습니다.
합장릉(合葬陵)
합장릉은 왕과 왕비를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능이다. 영조 이전의 합장릉은 혼유석을 2좌씩 배치하였으나 영조 이후에는 혼유석을 1좌씩 배치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세종 영릉, 인조 장릉, 정조 건릉 등 8기의 능이 있습니다. 특이하게 순종황제 유릉은 황제와 황후 두 분을 하나의 봉분에 합장한 동봉삼실(同封三室) 합장릉입니다.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동원이강릉은 같은 능역에 하나의 정자각을 두고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과 상설을 조성한 능입니다. 최초의 동원이강릉은 세조 광릉이며, 예종 창릉, 성종 선릉 등 7기의 능이 있습니다. 특이하게 선조 목릉은 세 개의 서로 다른 언덕(선조, 의인왕후, 인목왕후)에 별도의 봉분을 조성하였고, 숙종 명릉은 쌍릉(숙종과 인현왕후)과 단릉(인원왕후)의 형태로 서로 다른 언덕에 봉분을 조성하였습니다.
동원상하릉(同原上下陵)
동원상하릉은 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위 아래로 조성한 능으로, 능혈의 폭이 좁아 왕성한 기가 흐르는 정혈(正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풍수지리적인 이유로 조성하였다. 효종 영릉과 경종 의릉 2기가 해당되며, 왕의 능침에만 곡장을 둘렀습니다.
삼연릉(三連陵)
삼연릉은 한 언덕에 왕과 두 명의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능으로, 헌종 경릉이 유일하다. 우상좌하(右上左下)의 원칙에 따라 오른쪽(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에 왕을 모시고 첫 번째 왕비(효현성황후)와 두 번째 왕비(효정성황후)를 순서대로 모셨습니다.
단릉 형식은 태조 건원릉부터 시작하여 조선 중기까지 나타나며 18세기 이후에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쌍릉 형식은 조선시대 전반적으로 고르게 나타나며, 동원이강릉 형식은 세조 광릉을 시작으로 15세기에만 집중되었을 뿐 이후에는 볼 수 없습니다.
합장릉의 형식은 18세기 이후에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능역 조성시 소요되는 경비와 인력을 절감하기 위해서입니다.
그 밖에 풍수적인 입지와 공간적으로 협소하여 동원상하릉의 형식과 삼연릉 형식이 나타나기도 하였습니다.
(이상은 조선왕릉 홈페이제에서 복사해 온 것입니다.)
능의 구조는 아래에서 종종 언급되겠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면
1. 금천(금천교)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매표소를 지나서 홍살문 앞에 이르면 금천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금천에는 금천교가 있습니다.
간혹 없는 곳도 있고 금천은 있어도 다리라고 하기에는 간단한 돌을 깐 곳도 있습니다.
여기가 성과 속의 경계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궁궐에도 이런 금천이 있습니다.
불교 사찰에는 일주문 전후로 향수해를 건너는 홍예교가 있습니다.
이 금천을 지나면 홍살문이 나옵니다.
2. 홍살문
홍살문(紅箭門)이란 충신, 효자, 열녀들을 표창하여 임금이 그 집이나 마을 앞, 능(陵), 원(園), 묘(廟), 궁전(宮殿), 관아(官衙) 등에 세우도록 한 붉은 문(門)입니다.
일반 서원에 세워지기도 하는데 이는 고명한 유학자의 위폐를 서원 한구석에 모셔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홍살문의 원음은 홍전문(紅箭門)입니다.
붉을 홍, 화살 전, 문 문. 한마디로 붉은 화살로 된 문이란 뜻입니다.
그 구조를 보면 홍살 뿐만 아니라 가운데에는 삼지창(三枝槍)까지 만들어 놓았고 삼지창의 목 부분에 음양을 뜻하는 태극(太極)이나 삼태극(三太極), 불교의 만(卍)자 그리고 단청문양을 그려넣기도 하였습니다.
3. 향로와 어로
홍살문 아래에는 향로와 어로가 있습니다.
이 길은 향을 든 제관과 임금이 걸어가는 길입니다.
4. 판위
판위는 대체로 홍살문 오른쪽에 있습니다.
이 판위는 배위라고도 하며 참배자가 절을 하는 곳입니다.
5. 정자각
향로와 어로의 끝에는 정자각이나 일자각이 있습니다.
여기는 제사를 지내는 곳입니다.
이 건물의 생긴 모양이 丁자처럼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원에는 정자각이 아닌 일자(一)각이 있습니다.
황제의 능인 홍유릉에는 丁字閣이 아닌 한 일자('ㅡ')의 一字閣이 있습니다.
지붕에는 잡상들이 있어서 여기가 신성한 곳임을 나타내고 잡귀들이 접근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정자각에세 실제적인 제사행위가 이루어 집니다.
6. 수복방과 수라간
정자각과 홍살문 사이에는 동쪽에 수복방이 있고 서쪽에 수라간이 있습니다.
수복방은 능을 지키는 사람인 능참봉등이 근무하는 곳이고 수라간은 제사 음식을 만드는 곳입니다.
능에 따라서 수복방과 수라간이 없거나 둘 중 하나만 있는 곳도 있습니다.
실제 제사 음식은 능 근처에 있는 재실에서 대부분 준비하게 됩니다.
7. 능침
정자각 뒤에는 능침부분이 있습니다.
능침부분의 석물이나 구조에 대해서는 아래 글들 가운데 여러 곳에서 설명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대체로 능침부는 봉분과 그 뒤의 곡장과, 봉분을 둘러싼 병풍석과 난간석, 봉분 앞의 혼유석과 장명등, 봉분 양옆의 망주석과 석인, 각종 석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정자각과 능침으로 올라가는 사이 도랑에는 돌다리가 놓여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 돌다리는 제사를 받으로 온 능의 주인이 제사가 끝나고 능으로 돌아갈 때 빗물등에 발이 젖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8. 예감
일반적으로 능 아래 정자각에서 바라봤을 때 왼편에 예감이 있습니다.
예감은 제사 축문을 태우는 곳입니다.
바람등에 산불이 나지 않게 뚜껑이 있거나 돌로 테두리를 두른 경우가 많습니다.
9. 비각
정자각 동편에는 이 능의 주인을 표시하는 비각이 있고 그 안에는 왕이나 왕비의 묘호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제 차례대로 능들을 탐방해보겠습니다.
우리 대부분의 왕릉에는 탐방객들을 위한 산책로가 능 주위로 잘 조성되어 있고 아름다운 소나무숲인 도래솔이 잘 가꾸어져 있습니다.
순서는 위 왕릉 배치도의 왼편에서 오른편 순서대로 탐방합니다.
1. 파주 장릉
파주 장릉(長陵) 21-07-14 (tistory.com)
2. 김포 장릉
김포 장릉 19-10-23 (tistory.com)
3. 파주 삼릉
파주 삼릉 17-10-19 (tistory.com)
4. 고양 서삼릉
고양 서삼릉 21-07-28 (tistory.com)
5. 고양 서오릉
고양 서오릉 19-08-24 (tistory.com)
6. 양주 온릉
양주 온릉 21-07-14 (tistory.com)
7. 서울 태릉
서울 태릉 21-07-21 (tistory.com)
7-1. 서울 강릉
서울 강릉 21-07-21 (tistory.com)
8. 서울 정릉
서울 정릉 21-07-21 (tistory.com)
9. 서울 의릉
서울 의릉 21-07-20 (tistory.com)
10. 서울 선릉과 정릉
서울 선릉과 정릉 21-07-20 (tistory.com)
11. 서울 헌릉과 인릉
서울 헌인릉 21-07-22 (tistory.com)
12. 화성 융릉과 건릉
화성 융릉과 건릉 21-06-09 (tistory.com)
13. 구리 동구릉
구리 동구릉 20-05-23 (tistory.com)
14. 남양주 사릉
남양주 사릉 21-07-21 (tistory.com)
15. 남양주 광릉
남양주 광릉 17-10-02 (tistory.com)
16. 남양주 홍.유릉
남양주 홍.유릉 17-08-12 (tistory.com)
17. 여주 영릉과 영릉
여주 영릉과 영릉 21-07-09 (tistory.com)
18. 영월 장릉
https://song419.tistory.com/m/3356
왕릉에는 들지 못했지만 한 때는 왕이었던 연산군과 광해군의 묘도 함께 올린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연산군이나 광해군에 관해서는 다른 시각도 있어서 읽은 책을 함께 올린다.
19. 서삼릉 효릉
https://song419.tistory.com/m/4174
서삼릉의 예릉과 희릉은 개방이 되어 있지만 효릉은 미개방으로 있다가 개방이 되어서 예약을 하면 들어갈 수 있다.
*. 연산군 묘
서울 연산군묘 21-07-23 (tistory.com)
연산군을 위한 변명 신동준 지식산업사 2003년 480쪽 ~7/25 (tistory.com)
*. 광해군 묘
남양주 광해군 묘 21-07-21 (tistory.com)
'궁,능,원,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준 선생 묘 21-09-11 (1) | 2023.05.05 |
---|---|
파주 소령원 21-09-01 (0) | 2023.05.05 |
고양 서삼릉 21-07-28 (0) | 2023.05.02 |
서울 연산군묘 21-07-23 (0) | 2023.05.02 |
서울 헌인릉 21-07-22 (0) | 202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