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오블완
- #평화누리길 2코스 #평화누리길 1코스 #평화누리길 1~2코스
- 평화누리길 경기 구간 완주
- 김포 문수산
- 군위 팔공산
- #윤두서 자화상 #공재 윤두서 자화상 #공재 자화상
- #강화 나들길 18코스 #강화 나들길 18코스 왕골 공예마을 가는 길
- 미시령 성인대
- 북한산 만포면옥
- #붕당의 발생 #붕당의 형성 #붕당의 시작
- #조선 국왕의 일생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엮음 글항아리
- 해파랑길 48코스
- #북한산 문수봉 #북한산 승가봉 능선
- #건봉사 #고성 건봉사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단양 구담봉
- 해파랑길 8코스
- 티스토리챌린지
- 해파랑길 20코스
- 성인대
- 평화누리길 4코스
- 앙코르와트
- 김포 한재당
- 평화누리길 3코스
- #강화나들길 3코스
- 정서진 #정서진 라이딩
- 명동 성당 미사
- #대흥사 #해남 대흥사
- #조선 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 시기)
- 평화누리길 7코스
- Today
- Total
목록독서 (887)
노래하는 사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URFcX/btsaiazdTcn/nhs7nqK7GhKzAPUjP4On6k/img.png)
두 저자가 퇴계의 사상을 설명한 책 이 책 바로 앞에 읽다 만 '천작'을 쓴 김기현 교수와 퇴계의 17대손 이치억이 한꼭지씩 번갈아 비슷한 주제를 논했다. 퇴계는 내가 가장 존경하는 우리 나라 사람 가운데 한명이다. 처음에는 최인호의 소설 유림 때문이었지만 그의 고결한 인품이 시간이 지날수록 존경심을 품게 만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청빈을 주장하면서 그의 재산이 그렇게 많았던 것은 아직 이해할 수 없다. 그의 축재 방법이 비난받을 소지가 있다면 내 생각이 바뀔 수도 있다. 사람이 죽어서 되는 귀신은 인귀, 또는 귀신이다. 천신에게는 교(郊) 지기에게는 제(祭) 인귀에게는 향(亨)이라는 이름의 제사를 올린다. 예기에서 말하는 9가지 용모 발걸음은 장중하게 손놀림은 공손하게 시선은 바르게 입은 과묵하게 목소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PQYL7/btsaqO2MiW5/3ecIA4OnK7nexH1JC6A940/img.png)
저자는 전북대 윤리 교육과 교수다. 천작을 하늘이 내린 영원한 벼슬이라고 한다. 천작은 사랑과 정의, 진리를 고유한 인격 가치로 여긴 사람들이 특히 맹자가 강조한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끼리 주고받는 인작과는 달리 하늘이 내려준 영원한 벼슬이라고 했다. 소학에 나오는 태교에는 옛날에는 부인이 아이를 배면 가로누워 자지 않았고 몸을 한쪽으로 기울여 않지 않았으며 삐딱하게 서지 않았다. 나쁜 음식은 먹지 않았고 음식물을 칼로 자른 모습이 반듯하지 않으면 먹지 않았으며 좌석이 반듯하지 않으면 앉지 않는다. 눈으로 요사스런 색깔을 보지 않았고 귀로는 음란한 소리를 듣지 않았으며 밤이면 음악하는 사람을 시켜 시를 낭송하게 하였고 예의에 맞는 일만 하였다. 이렇게 하면 출생하는 아이의 형용이 단정하고 재주가 뛰어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WsLd/btsaqO9js33/qyMOIv7KAdE140AbP3nT7k/img.png)
저자는 유신 반대와 광주민주화 운동때 옥고를 치른 사람이다. 저자를 보면서 맹자를 철저히 공부한 사람들은 투사가 된다는 생각이 점점 더 확신이 생긴다. 도올과 함께 다산에 대해 8시간에 걸쳐 강의한 내용을 영상으로도 보았다. 다산 연구소 소장을 할 만큼 다산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있고 그를 깊이 연구했다. 다산은 1762~1836년까지 살았다. 조선의 르네쌍스라고 불리는 정조 때 사람으로 정조로 부터도 많은 총애를 받았지만 그의 사후 당시 당정 싸움 때문에 천주교를 믿는 서학으로 몰려서 장기현과 강진으로 유배를 가서 18년이나 살았다. 하지만 이 때 500권에 달하는 그의 책들이 다 쓰였다. 그의 사상을 말하면 저술들에서도 불 수 있듯이 불쌍한 백성들을 잘 살게 하기 위해서 자기의 능력이나 신념을 행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bkUo/btsaqP8czIM/SS6AuLQ7EIzRmBtgDtmzKk/img.png)
11명의 필자가 창의성에 관한 의견들을 발표한 글이다. 영화와 관련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 황준옥은 창의성도 사랑할 때 생긴다고 말한다. 유승호는 초반에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이야기하면서 신은 세세함 속에 존재한다고 말한다. 창의성도 섬세해야 한다는 말로 이해된다. 이상민은 야누스적 사고,패러독스도 받아들여야 창의성이 산다고 말하는 것 같다. 이병민은 영어단어 thanks의 이니셜에 맞추어 고마움과 창의성을 연결시켰다. 이수영, 이장혁은 익숙함과 새로움이 만남을 주제로 창의성을 설명했다. 김형진은 다르게 보기와 창의성을 연관시키면서 나는 삐딱하다. 고로 존재한다고 말한다. 황준욱은 소통과 창의성을 말하면서 창의성도 소통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상민은 몰입과 창의성을 말하면서 무소유는 힘이 세다고 말한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To1w/btsahJVPXRa/K6jAkEKwYfTTYG8NFhO1Yk/img.png)
제목의 건축물들을 설명한 책. 궁궐 건축의 간단한 역사를 설명하고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등 5대궁궐을 소개 설명했다. 5대 궁궐외에도 인경궁이라는 궁궐을 짓다가 중단한 것도 있다. 종묘와 사직단은 좌종묘 우사직의 주례 원칙에 따라 지었다. 성균관, 향교, 서원등을 소개하고 설명했다. 향교 가운데는 임진왜란 이전에 지은 장수 향교만 현재까지 남아있고 나머지는 부서지거나 불탄 것을 그 후에 다시 지었다. 경북 영천에 있는 영천 향교에는 유래루가 있다. 유래라는 말은 공부하러 오는 이는 누구도 막지 않는다는 뜻이다. 함양 도동 서원의 문루인 수월루는 물 위에 비친 달빛으로 글을 읽는다는 뜻이다. 눈썹지붕은 없어도 큰 문제는 없지만 비나 눈을 막아주는 편리한 기능을 하는 지붕이다. 장수향교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0Ci1u/btr96PoFZj4/WY06ZCElsd5ZHt2M4BEf5k/img.png)
불교회화를 체계적으로 설명했다. 고려 시대에 불교가 융성했기 때문에 고려 불화가 많지만 일제가 거의 다 뺏어가서 대부분 일본에 있다. 각 사찰별 중요한 불화들을 설명했다. 대웅전 석가모니후불탱은 영산회상에서 설법하는 석가모니와 성중들을 그렸고 아미타극락회상탱은 극락전 아미타불 뒤에 있는 탱화로 서방 극락에 있는 아미타불과 관음 보살 그리고 대세지 보살이 그려진다. 그러니까 앞에 앉아있는 불상에 따라 그 후불탱이 그려지는 것이다. 대웅전에는 영산회상탱이 극락전에는 아미타후불탱이 적광전에는 비로자나삼신불탱이 걸린다. 삼신불이란 법신인 비로자나불, 보신인 노사나불, 화신인 석가모니불을 말한다. 대웅전에는 상단불화인 영산회상탱외에도 왼편에는 중단불화인 신중탱 오른편에는 하단불화인 감로탱이 걸린다. 고려불화는 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cR0uz/btr97n6nmjd/PDNzeCR290MYoqVKkAgWe0/img.jpg)
저자가 우리 나라 건축과 불교 미술, 능묘 조각, 민속미술인 장승등을 연구한 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mnSQ1/btr94vpdJUn/zWzXDXzuJUZr1Hj3VcZvQk/img.png)
러시아 정교의 역사와 예전, 예술 등을 자세히 설명했다. 러시아 정교는 음악 미술 등 예술을 교회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활용하고 있다. 성당 건축에서 보여주는 예술적 아름다움이나 8번의 성무일과에 사용되는 음악, 그리고 이콘에서 보여주는 회화의 아름다움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장려한다. 러시아 정교회의 신학은 한마디로 아름다움의 신학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예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역사적으로는 토착신앙과 비잔티움의 신학이 섞여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미신적인 신앙이라는 것은 아니다. 끼예프 시대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신앙의 깊이를 더해갔고 몽골 지배 시대에는 관용적인몽골의 종교정책으로 인해 오히려 수도원이 더 발전했다. 깊은 지혜와 영성을 추구하는 헤시카즘이 수도원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바보 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gR3bK/btr9PdxcGCw/S1kqKTkyROkIHadtzrsdj1/img.png)
한비자의 내용을 설명한 책으로 유가의 인이나 관용보다는 확실한 법에 따라 상벌로 정치를 해야한다는 한비의 주장을 조목별로 설명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oObf/btr9BGMOR6J/fBFqpK55wKc8P8KgmMfjq0/img.png)
춘추는 공자가 노나라의 역사를 편년체로 편수한 책으로 춘추좌전 외에도 춘추 공양전과 춘추곡량전이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워낙 방대한 분량이고 가을에 놀기 바빠서 상권 320여페이지까지만 읽고 대출기일이 차서 반납한다. 역사서에서 간혹 읽은 글들이 이 책에 나온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jzdK/btr9sgy9uBA/MwvepMxdRXMMM3ZQfgtkX0/img.png)
대학은 ≪예기≫에서 ≪중용≫과 ≪대학≫의 두 편을 독립시켜 사서 중심의 체재를 확립하였다. 49편으로 구성된 ≪예기≫ 중 제42편이 ≪대학≫에 해당한다. 주희는 ≪대학≫에 장구(章句)를 짓고 자세한 해설을 붙이는 한편, 착간(錯簡 : 책장 또는 편장의 순서가 잘못된 것)을 바로잡았다. 그는 전체를 경(經) 1장, 전(傳) 10장으로 나누어 ‘경’은 공자(孔子)의 사상을 제자 증자(曾子)가 기술한 것이고, ‘전’은 증자의 생각을 그의 문인이 기록한 것이라고 하였다. ≪대학≫의 저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 전통적으로는 ≪중용≫과 ≪대학≫이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대학≫의 내용은 삼강령 팔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령은 모든 이론의 으뜸이 되는 큰 줄거리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ZRUAr/btr9ppDoaXh/a02hHREftxgXdQYqmgrmuk/img.png)
베스트 셀러라고 해서 읽었는데 베스트 셀러가 될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사회의 최상위층 사람들과 중산층 그리고 하위층 사람들이 어떤 생활과 생각을 하고 사는지 저자는 예리하게 설명한다. 이 책에 의하면 아비투스라는 말은 * 타인과 나를 구별하는 취향, 습관, 아우라 * 사회 문화적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제 2의 본성 * 계층 및 사회적 지위의 결과이자 표현이라고 정의한다. 이 책의 차례가 7가지 아비투스를 설명하고 있다. 1장 아비투스가 삶, 기회, 지위를 결정한다. 2장 심리자본 - 어떻게 생각하고 어디까지 상상하는가 3장 문화자본 - 인생에서 무엇을 즐기는가 4장 지식자본 - 무엇을 할 수 있는가 5장 경제자본 - 얼마나 가졌는가 6장 신체자본 - 어떻게 입고 걷고 관리하는가 7장 언어자본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oFVxD/btr9mRAkCMt/zIVt7zCgGp1rx3rrcYyrF1/img.png)
지봉 이수광의 지봉 유설과 성호 이익의 성호사설 중 글들을 골라서 설명한 책. 이 두 책은 우리 나라 초기의 백과사전이라고 할 수 있다. 지봉 유설이란 말은 유서는 다른 사람들의 글을 모아서 편집한 책이고 유설은 거기에 자기 생각을 첨가한 것이다. 성호사설의 사설은 잡된 글들이라는 겸손한 표현이다. 이수광은 1553년에 태어나서 1628년에 죽었으며 왕족의 후손이다. 이 지봉유설은 1614년에 탈고된 책이다. 이익은 1681년에 태어나서 1763년에 죽었다. 16세에 진사시에 합격할 정도로 뛰어난 인재였다. 그러니까 이 성호사설은 18세기에 쓰여진 책이다. 무지개는 홍예, 분홍,채동으로도 불린다. 이름에 다 벌레 충자가 들어 있는데 이것은 무지개를 동물이 만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무지개가 물을 마신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5J65K/btr9nIJIYCU/OKmxOTNATthBbwakjDpXd0/img.png)
조선시대에 쓰여진 12통의 편지를 통해 소통의 지혜를 설명한 책이다. 12개의 편지는 1. 편지 정치의 달인, 정조 2. 이 부부의 평등한 소통법, 군관 나신걸 3. 남편을 변화시킨 쪽지 편지, 강정일당 4. 영혼을 매료시킨 감성적 소통의 대가 이순신 5. 살림하는 남자, 퇴계 이황 6. 존경받는 아버지, 연암 박지원 7. 배려하되 단호하게, 명성황후 8. 엄격하고 깐깐한 아버지, 다산 정약용 9. 딸 바보, 선조 10. 외롭고 쓸쓸한 왕비 인선왕후 11. 노부부의 사랑과 전쟁, 신천강씨 12. 불통의 고통, 곽주 저자의 말에 의하면 조선 중기 까지는 남녀의 평등이 상당히 잘 이루어졌지만 조선 후기에 성리학이 성행하면서 남존 여비 사상이 강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조선 중기 까지는 여자들도 남자들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2WZI/btr8Ls1ZzF8/bzfxNpPN4ihhg3oSRQGsEk/img.png)
허준의 동의보감을 읽으려고 도서관에 갔다가 동의보감이 너무 책 종류가 많아서 사서의 말을 듣고 소설을 읽게 되었다. 허준의 일대기를 소설로 다루었고 작가가 도중에 세상을 뜨는 바람에 소설은 허준이 임진왜란으로 선조를 따라 몽진하는 부분에서 끝난다. 하권 말미에 이진섭이라는 분이 이은성에 대한 발문을 붙였다. 작가는 원래 이 책을 춘하추동 4권으로 만들려고 했지만 도중에 작고하는 바람에 상중하 3권으로 끝났고 마지막 결론 부분은 허준을 다룬 드라마 '집념'을 보면 추측이 된다. 마지막 권 '동'에서 다뤄질 내용이 이진섭의 발문에 간략히 소개되어 있다. 미사와 마지막까지 나라에 충성하다가 선조가 죽고 귀양살이에서 2년간에 동의보감을 완성하고 다시 복권되지만 조정의 부름을 마다하고 삼남에 창궐한 흑사병에 시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WDsN/btr8J0x7vUT/RlPgXRVZN1Ic3XHefsYh2K/img.png)
3권은 중국에서 보고 들은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내용은 요술놀이, 피서 산장에서 쓴 시화, 장성 밖에서 들은 신기한 이야기, 옥갑에서의 밤 이야기, 북경의 이곳 저곳, 공자사당 참배기, 적바림(간단한 메모의 순수한 우리말이다.) 모음, 동란재에서 쓴 글, 의약 처방 기록등이다. 요술을 보고 신기해서 쓴 내용이 인상적이다. 요즘 마술사들이 하는 내용과 별로 다르지 않다. 몇년 전 중국에서 수입한 생선 뱃속에서 납덩이가 나와서 언론에 크게 보도된 적이 있다. 그런데 중국인에게 이런 일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 이런 글이 있다. "오중의 전당 지방 사람인 전여성의 위항총담에 이런 내용이 있다. ...또한 그 풍속이 가짜를 만들어서 눈앞의 이익을 챙기기를 좋아하고 뒷일은 생..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jLtP6/btr8J4G6UMy/luIsL6pxBuTYrBj6LHtFiK/img.png)
2권은 열하에 도착해서 태학관에 머물며 일어난 일들에서부터 북경으로 되돌아가는 이야기와 여러 사람들과 만나서 나눈 필담들을 기록했다. 그 중에서 망양록은 연암과 형산 윤가전, 그리고 곡정 왕민호의 음악에 관한 깊은 이해도를 보여 준다. 인상적인 글들을 옮긴다. 글은 사람의 말을 다 표현할 수 없고 그림은 사람의 생각을 다 그릴 수 없다. (書不盡言 圖不盡意) 건륭제의 호부상서였던 화신을 잠깐 지나가면서 보았는데 그에 대한 연암의 평가는 "눈매가 밝고 수려하며 얼굴은 준엄하고 날카롭게 생겼으나 다만 덕과 그릇이 작아 보였다. 나이는 이제 갓 서른하나란다." 거문고에 앉은 먼지를 사자학, 거문고 줄에 낀 손때를 앵무장, 생황을 불다가 그 구멍에 말라붙은 침을 봉황과, 종과 편경에 붙은 파리똥을 나화상이라 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VsQq2/btr8JpX2mfL/Km0drlIROkLTjAcBHXe1Yk/img.png)
몇년전에 읽은 책을 다시 읽는다. 세계 최고의 여행기라고 평가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븐 바투타나 마르코 폴로 혹은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등 그외의 많은 여행기들과 비교해보기 위해서 읽게 되었다. 이 책은 당시에는 거의 금서 취급을 받아서 공간이 되지도 않았고 필사본으로 전해내려오다 보니까 여러 사본들이 있다고 한다. 연암의 필체가 너무 자유분방하고 당시 지식인들이 보기에 반항적으로 보였든지 정조대왕조차도 별로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고 하니까 출판은 안 됐지만 당시에 이미 유명해진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돌베개 출판사는 3권으로 나누어 출판했고 연암이 간 길을 다시 가면서 사진을 많이 수록했고 사람이나 어려운 용어들은 자세히 설명했다. 1권은 6/24일 출발에서부터 8/9일까지의 일기다. 일기와 관람기 호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jvng/btr8FhtqFGE/6zcrkg0CWUPz3WtMtskVp1/img.png)
카네기의 자기 개발서 가운데 한 권이다. 이 분야의 워낙 독보적인 저자여서 역시 귀담아들을 말이 많다.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에게 충고해주는 말이 많다. 전체는 9 Part로 되어 있다. Part 1. 걱정에 대해 알아야 할 기본적인 사실 1. 하루를 충실하게 보내라. 2. 걱정스러운 상황을 해결해 주는 마법의 공식 *.윌리스 H. 캐리어의 걱정 해결 방법 1. 상황을 두려움 없이 솔직하게 분석하고는 실패함으로써 발생하게 될 최악의 결과가 무엇인지 알아보라. 2. 최악의 결과를 예견해 보고 필요하다면 그 결과를 담담하게 받아들여라. 3. 침착하게 최악의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라. 3. 걱정이 우리에게 미치는 효과 걱정에 대처하지 못하는 사업가는 일찍 죽는다. *. 걱정을 해결하기 ..